?

중국은 가까운 나라라서 친구들이 많이 여행 한  곳이란 걸 안단다.  그래서 좀 미안 한 부분도 있지만

내가 체험한 중국을  친구들이 못 가 본 곳을 조금 씩 소개하려 한단다.

카이핑이란 곳은 광동성에 있는데 불란서 애들이 이 곳을 간다기에 무조건 여행 좋아하는 우리 부부는 신청을 하고 따라 나섰어. 먼거리라서 둘이 가기엔 힘든 곳이라서 말야.  그런데 아주 아름답고 슬픈 역사가 있는 곳이더라. 중국인들이 세계 각국에 흩어져 사는 사람들이 광동인 이라는 것도 알고.(요즘은 아니지만)  이민 박물관에 자세히 있었는데 우린 역사가가 아니니까 건너 뛰고.

 

청나라 말기에 먹고 살기 힘든 시기에 해외 이주자들을 모아서 여객선에 몇 배의 정원 초과 인원을 태우고 샌프란시스코의 철도원을 비롯해 많은 나라에 돈 벌러 갔다네.  이 사람들은 조그만 공간도 없이 포개서 겨우 끼워 앉아서 몇 달을 배로 갔대. 잠도 새우잠 자면서. 먹을 거라곤 겨우 배고픔 만 달래게 주었고 화징실 가기가 힘드니 물도 조금 만 주었고 . 전염병과 체력이 약한 사람들이 많이 죽어 나갔대. 가까이는 홍콩이었고.  배가 파선 되어서 전원이 수장 되기도 했지만  운이 좋아 도착 만 하면 몇 년 안에 돈을 벌어서 귀국하면 넓은 땅을 살 수 있었대.  해외 나가서 멸시 천대 받으며 돈을 악착 같이 모아 돌아 오거나 가족에게 돈을 보내면 남은 식구들이 땅을 사는거야. 조그만 땅도 없이 살다가 넓은  소작 땅을 살 수 있으니  이젠 고생 끝나고 배 부르게 떵떵거리면서 소작인 두고 살 줄 알았지.

그런데 이 소작인들이 낮에는 와서 얌전하게 일하고 돈을 벌어 가고 수확을 거두기 만 하면 밤에는 도둑으로 변하는거야.  이웃 농민들하고 같이 오기도 하고 . 그러니 어디에 무엇이 얼만큼 있는지 너무 잘 알지. 그 시절엔 배고픈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수탈해서라도 먹고 살아야 하니까. 펄벅의 대지가 생각 나더라.

그래서 귀국한 교포들이 자연스럽게 모여 살기도 하고  아래 나오는 건축물로 자기를 보호하고 살았대.

아래 층에는 조그만 철문 하나 만 만들고 아무 장식 없이 총구멍이나 쇳물이나 뜨거운 물을 부을 수 있는 구멍 만 있고 맨 윗층엔 곡식 창고가 있고 주거 지역으로 사용했어. 가구들은 외국에서 갖고 온 물품으로 진열 되어 있지만 왠지 즐거운 생활 만은 아니었을 것 같더라. 조그만 공간에서 밤마다 가슴 졸이며 살아야 했으니 말야.

어떤 사람들은 살기는 외국이나 타 지방에서 살면서 수확철에 만 와서 수금 해 가는 사람들도 있었대.

홍콩이나 가까운 동남아시아에 살던 사람들은 가구 장식이 화려 했는데 돈 받고 보여 주면서 사진은 못 찍게 하더라.


카이핑지도.jpg



A0  Picture 026.jpg

          디아오로우의 전경



A2 DSCF0141.JPG

                         상부층은 아름답게 꾸미려 노력을 많이 한 것 같은.

A3 DSCF0125.JPG


A4 DSCF0150.JPG

        옥상에서 내려 다 본 집 주변  집 주위에 물이 흐르게 만들고       맨 아래 층은 부엌으로 사용하고

A7 Picture 019.jpg


A10 Picture 022.jpg

                        바닥도 아름답게 장식하고.

A8 Picture 020.jpg


A11 Picture 023.jpg



A9 Picture 021.jpg




A5 DSCF0151.JPG


A6 DSCF0161.JPG

           같이 모여서 살기도 하고.

DSCF0123.JPG

                         현재 주민들이 사는 동네 재개발 한 듯

A1 DSCF0108.JPG

                           드라마 촬영하는 탈렌트와 스탭들.


Picture 071.jpg

                언제 부터 살앗는지 모르는 마을 주민

옥상옥.JPG

                         맨 윗층과 옥상에서 주로 생활함.


Picture 059.jpg


Picture 096.jpg

                                             붉은 쇳물 자국들이 그 시대를 대변해 줌

Picture 086.jpg

       쇳물을 흘려 내려 보낸 자국

Picture 082.jpg



Picture 079.jpg

                                       배에서 생활 하는 사람들도 있더라. 학교 갔다 오나 봐.

Picture 064.jpg


DSCF4674.JPG

                                   디아오로우의 주변 낮에는 여유롭게 이 다리에서 즐겼던 것 같다.


DSCF0198.JPG


Picture 011.jpg



A3 DSCF0125.JPG

                          창문은 철근으로 봉쇄하고.

DSCF0198.JPG






Picture 018.jpg





Picture 059.jpg

                 창문을 다 막아 버림.

                         이 아름다운 집들이 다 비워져 있고.


Picture 012.jpg

      작은 디아오로우

Picture 018.jpg


Picture 031.jpg

                                      지붕이 제일 아름다운 디아오로우

Picture 096.jpg


카이핑2.jpg

                         가족이 몽여 살아 좀 안전 했을 것 같다.


DSCF0172.JPG

  모여서 살음.  이 지역은 무역하던 곳. 지금은 서민들이 모여 살더라.


P1190014.JPG


      중심부에 수로가 관통하면서 상인들이 교류를 했다네.



DSCF0207.JPG

            부잣집을  지어 만든 세트장.   영화를 만들기 위해 만든거라는데 난 모르는 영화더라.


Picture 159.jpg

             아까운 문화재 거리. 


DSCF0229.JPG



Picture 115.jpg

                            소수 민족 관족 도서관.


DSCF0168.JPG

               거리와 베란다에서 우리가 아는 홍콩 배우나 중국 배우들이 나 올 것 같지 않니?


옥인아! 중국 노래 하나 부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