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회 | 포토갤러리 | - 게시판담당 : 박화림
<펌>
새해 결심 목록에 '은퇴 후 어떻게 살지 미리 생각해놓기'를 올렸다.
무얼 하면서 나머지 30여년을 살아갈 것인가.
젊은 시절 로망처럼 꿈꾸던 전업 작가에 도전해볼까. 자그마한 출판사를 하는 것은 어떨까.
이런저런 궁리의 나래를 펼쳐보지만 결국엔 '내가 될까…' 하는 좌절감에 부닥치곤 한다.
나이 든 내게 경쟁력이 있을까.
무엇보다 새로 일을 벌였다 망신당하면 어쩌냐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크다.
새해 벽두 일본 아사히신문에 한 장의 사진이 실렸다.
꽃무늬 수영복 차림 할머니가 수영장 한편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깊게 파인 주름살에 세월의 흔적이 찬란하지만 군살 하나 없는 날렵한 몸매다.
사진엔 '세계기록을 11개 보유한 99세'란 제목이 붙었다.
그녀의 이름은 나가오카 미에코(長岡三重子), 곧 100세 생일을 맞는 시니어 수영 선수였다.
그녀는 아마추어 동호인 대회인 마스터스 수영선수권의 세계 챔피언이다.
2년마다 열리는 세계 대회에서 지금까지 메달을 60개 따냈다.
그녀가 활약하는 95~99세 체급에서 세운 세계신기록만 11개에 달한다.
주(主)종목인 배영(背泳)은 적수가 없는 최강이고, 자유형·평영에서도 대회만 나가면 메달을 따낸다.
신문은 그녀가 53세 때 남편과 사별한 뒤 야마구치현에서 혼자 살고 있다고 전했다.
내 눈길이 확 꽂힌 것은 그녀가 수영을 시작한 나이였다.
나가오카 할머니는 원래 수영 선수 출신이 아니다. 70대까지는 수영장 근처에도 안 가보았다고 한다. 무릎 통증에 좋다는 아들 권유로 난생처음 동네 수영장을 찾은 것이 80세 때였다.
처음엔 그냥 물속을 걷기만 했다. 25m를 헤엄칠 수 있기까지 꼬박 1년이 걸렸다.
실력이 늘자 욕심이 생겼다. 87세부터 미국·이탈리아·뉴질랜드 등에서 열린 세계 대회에 출전했다.
90세에 처음으로 은메달을 땄고, 95세 땐 배영 200m 종목에서 첫 세계기록을 세웠다.
이후 95~99세 체급의 최강자로 군림하면서 신기록을 쏟아내고 있다.
지금도 일주일에 3~4회 수영장을 찾아 1㎞씩 연습을 한다.
새해엔 100~104세 체급에서 금메달을 따는 것이 목표다.
치열하도록 아름다운 99세의 '청년 정신'이었다.
나가오카 할머니의 사례를 일반화하기는 힘들 것이다.
100세 시대, 30~40년의 삶을 덤으로 갖게 됐지만 행복한 노년을 보내는 경우가 다수는 아니다.
많은 노년이 가난과 질병, 무관심과 외로움에 시달리며 말년을 맞는다.
그래서 국가 책임론이 화두(話頭)로 등장했다.
국민의 은퇴 후 삶에 국가가 더 큰 책임을 지라는 것이다.
동시에 노년층 스스로도 생각을 바꿔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보면 노년에 새로운 일에 도전해 일가(一家)를 이루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작년 일본 최고 권위의 아쿠타가와상(賞)을 받은 작가는 75세 할머니였다.
그녀는 교사·사무원으로 일하다 은퇴한 뒤부터 본격적으로 글을 써 정상에 올랐다.
99세에 처음으로 출간한 시집이 베스트셀러가 됐던 여류 시인(고·故 시바타 도요)도 있었다.
국내에서도 70대가 신춘문예에 당선돼 등단한 사례가 나왔다.
미켈란젤로가 그 유명한 성베드로 성당 천장화를 완성한 것은 70세 때였다.
디포는 59세에 '로빈슨 크루소'를 썼고, 칸트는 57세에 '순수이성비판'을 세상에 내놓았다.
76세에 처음 붓을 들어 101세로 눈감을 때까지 '미국의 국민 화가'로 불렸던 모지스 할머니(1860~1961) 케이스도 유명하다.
(중략)
우리가 누구나 80세에 시작해 챔피언이 될 수는 없다.
다만 마음먹기 따라선 노년을 새로운 인생으로 맞을 수는 있다.
중요한 것은 '주책' 소리 들을까 봐 겁내지 않는 청년 정신일 것이다.
은퇴 후 30년은 또 다른 청년기(期)의 시작이다.?
경선아 반가워.
일단 이름만 봐도 반가운 게 우리 친구들이다.
사빈이는 갔니?
우리 세대가 샌드위치세대라 불이익만 많은 것처럼 보인적이 많았는데
엄청 축복받은 것도 사실이야.
단지 이제는 사회 분위기에 편승해서 저절로가 아니고 자신의 의지와 결단력에 따라 엄청 달라진다는 것이지.
게으른 자들에게는 오히려 불행의 시대라고도 ........ㅎㅎㅎ
홈피를 보면 다들 잘하고 계시더라.
난 오늘 교회에서 헌금 특주를 해.
연주란 크든 작든 엄청난 부담인 건 사실이네.
음악이 교회음악에 국한되어 있는 거라 수많은 악보도 찾아야 하고(십여년에 걸쳐 많이 찾아 놓긴 했어)
연주 자체가 듣기만 해도 감동스러운 좋은 편곡도 흔하지가 않아.
기교적으로 너무 어려운 건 연습도 어렵지만 헌금 시간에 어울리지 않고 너무 단순한 건 시시해 보이고............
기장 어려운 부분은 역시 암보가 잘 안되는 건데
악보를 펼쳐 놓아도 때때로 '여기가 어드멘가!!!" 하고 순간 눈 앞이 하얗게 되기도 .ㅎㅎㅎ
시험도 아니고 누가 뭐랄 것도 아닌데 우리 인일의 이 완벽주의 근성이 일주전부터 사람을 상당히 피곤하게 만드네.
이런 점에서민큼은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사람들은 편안할테지?
노년의 문제점이랄까?
어제 잘 됬다고 오늘도 잘한다는 보장이 없다는 거!
연주분야는 스포츠와도 같아서 그 날의 컨디션이 엄청 좌우하거든.
근데 가만 보니 요즘 젊은이들은 이렇게 힘들어 안하는 거 보면 우리 시대의 교육에 문제가 있었던 것 같아.
즐기지를 못하고 그저 그저 완벽을 추구!(이런 상황이 결국은 완벽 근처에도 못가게 만들고 말지)
다들 피아노 치는 나를 보면 용기가 난다니 해봐야지
이 말이 바로 우리의 현주소가 노년이라는 증거겠지?
경선아~
좋은 글 올렸다.
이젠 인생은 60부터가 아니고 80 부터? ㅎㅎ
읽기만 해도 기운이 나네.
자꾸 잊어버리니까 뭔 일이든 자신이 없어진다.
어떨때는 전화해 놓고는 누구한테 했더라? 생각이 안나 ~ 잠자코 있는다.
뭘 가지러 갔다가 그게 뭔지 잊어버려 한참 서성이기도 하고~
어느새 60 중반에 들어섰는지 실감이 안난다.
명옥아~
넌 피아노를 잘 쳐서 여러사람 즐겁게 해주니 얼마나 좋으니?
너희 남편은 복도 많다.
니가 매일 한곡씩만 쳐줘도 행복할거 같은데~
복 많은거 아실라나 몰라~ ㅎㅎ
뭐든 다 나쁜것만은 아니니까 노년이 주는 뜻밖의 선물이 어딘가에 숨어있지 않을까?
60이 되었다고 아우성을 친 후 벌써 오년이 지났다.
이젠 아우성을 칠 체력도 남아있지 않음을 느끼네 ㅠㅠ
그런데,
신문에 난 칼럼 한 편!!!(윗글)
또 다른 희망이 움틀 것만 같다.(오메 징한 거)
작은 위로와 희망을 주는 노인들의 사례!
늙어가는 우리 동기들과 이 글을 나누고 싶다.
(읽는 자에게 복이 있나니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