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용하면 일 저지른다고 누가 그러더구만,
이번에 일 한 번 저지르고 왔어.
총 15일, 산행은 10일 일정인 몽블랑 트레킹을 하고 왔단다.
열흘간 169키로 걸었다.
가는데 오는데 삼일 정도 걸렸고, 마지막 이틀은 널널하게 왔다 갔다 하고,
그 중간 열흘은 그냥 쉬지 않고 걸었다.
이틀 되니 허리띠가 헐렁해지더라. 재밌더라.
물론 다녀와서 미친듯이 김치찌개에 하루 네 끼 다섯 끼 먹다 보니 도루묵이긴 해도
몸이 많이 가볍다.^^
복잡했던 마음 정리된 건 말할 것도 없고.
모든 것이 먼지 같더라구^^ 에구.....
일단 사진을 올려 볼게.
내가 찍은 사진 아니다.
난 사진 찍을 새가 없었어.
사진을 찍으면서 걸을 수 없었어. 그러면 금방 뒤로 처지게 되니까.
무조건 힘을 다해서 정말 기를 쓰고 걸었다.
둘쨋날 왼쪽 오른쪽 새끼발톱이 곪기 시작하더라.
베낭 무게 때문이었을 거야.
출국할 때 잰 베낭 무게가 18키로였으니까.
샤모니에서 한국인이 운영하는(이 사람은 파리에서 공부하다가 샤모니를 여행한 후 그냥 거기에 정착해 버렸다더라) 알펜로제라는 민박집에서 필요없는 짐을 최대한 뺐다.
껍데기 뜯고 갖고 간 책, 아이들 베낭 너무 무거워 안돼 보여 대신 넣었던 깡통 2개, 로숀도 빼고 차단제만, 반찬도 대충 빼고. 잠바도 하나 빼고.
그래서 15키로!
양 발톱을 테이프로 꽁꽁 싸매며 곪지마! 여기서 그러면 안돼!
그랬더니 올 때까지 곪지 않았단다.
최대의 근심이던 무릎.
매일 무릎을 주무르며 고마워, 잘 견디자, 잘 해 보자구! 했더니 한 번도 아프지 않았다.
스틱에 많이 의지했던 것이 큰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총 대장이 산 사진 찍는 분이야.(박현호씨)
이분은 불과 10년 전만 해도 아니 다시 내려 올 산을 왜 올라가는 거야 하며 비웃었다고 하더라.^^
지금은 산에 영혼을 뺏긴 거지.
오늘 보니 사진이 올라오기 시작하더라.
그래서 양해를 구하고 퍼왔단다.
일단 올려 볼 테니 편안히;; 보려무나.
너희들이 힘이 된 것이 사실이니까.
힘들 때 내 마음의 벗들 많이 생각했다.
경계를 넘은 마음의 친구들.
해낼 수 없을 것 같은, 해내더라도 다시는 올 수 없을 것 같은 느낌이 드는 시간도 많았다.
그때마다 맘속의 친구들을 생각했단다.
주로 웃는 모습을 생각했다.
그리고 힘을 냈어.
보기에는 평화롭지만, 그리고 사진이 주는 아름다운 순간의 포착으로 어머나! 너무나 좋았겠다! 하는 사진 속에서도 그저 묵묵히 고개를 숙이고 오르고 또 오르고, 내려가고 또 내려가고..... 거의 대부분의 집 창가에는 이렇게 꽃이 있더라. 그게 장식의 전부인데 무척 아름답더라.
이 산장에는 아주 무뚝뚝한 할머니와 손주가 있는데, 정말 할머니는 한 번도 웃지 않더라. 그런데 그 손주가 클래식 기타를 치더라구. 너무나 아름다운 곡이었어. 홀 안에서 조용히 커피를 마시고 있던 나는 연주를 마치고 나오는 그 아이에게 엄지 손가락을 치켜 올려주었지. 어찌나 위로가 되던지
이 사람들은 박쥐 날기를 하는 사람들이야. 페러글라이딩처럼 박쥐 옷을 입고 그냥 날아 오르는 거야.
빙하 속이고, 이 빙하를 지나면 빙벽 등반을 하는 데, 순전히 그 빙벽 등반을 하러 오는 사람들이 밧줄을 주렁주렁 달고 저 안으로 간다. 우리는 여기까지만.
일단 여기까지~
- DSC_2574-2.jpg (60.3KB)(0)
- DSC_2646-2.jpg (71.1KB)(0)
- DSC_2807-2.jpg (54.3KB)(0)
- DSC_2820-2.jpg (52.3KB)(0)
- DSC_3064-2.jpg (46.0KB)(0)
- DSC_3247-2.jpg (62.8KB)(0)
- DSC_3254-2.jpg (47.3KB)(0)
- DSC_3268-2.jpg (68.6KB)(0)
- DSC_3413-2.jpg (53.9KB)(0)
- DSC_3484-2.jpg (41.2KB)(0)
- DSC_3485-2.jpg (42.2KB)(0)
- DSC_3740-2.jpg (34.9KB)(0)
- DSC_3757-2.jpg (33.7KB)(0)
- DSC_3906-2.jpg (59.4KB)(0)
- DSC_4956.jpg (64.2KB)(0)
- DSC_4963.jpg (75.1KB)(0)
- DSC_4968.jpg (55.1KB)(0)
- DSC_4994.jpg (53.7KB)(0)
- DSC_4997.jpg (92.2KB)(0)
- DSC_5004.jpg (98.6KB)(0)
- DSC_5038.jpg (58.8KB)(0)
- DSC_5136.jpg (44.5KB)(0)
- DSC_5144.jpg (55.3KB)(0)
- DSC_5146.jpg (53.5KB)(0)
- DSC_5150.jpg (56.8KB)(0)
- DSC_5155.jpg (66.4KB)(0)
- DSC_5158.jpg (71.1KB)(0)
- DSC_5169.jpg (132.9KB)(0)
- DSC_5179.jpg (80.0KB)(0)
- DSC_5221.jpg (80.3KB)(0)
- DSC_5227.jpg (57.5KB)(0)
- DSC_5242.jpg (67.7KB)(0)
- DSC_5254.jpg (75.5KB)(0)
- DSC_5259.jpg (161.5KB)(0)
- DSC_5270.jpg (131.6KB)(0)
- DSC_5280.jpg (36.4KB)(0)
- DSC_5287.jpg (63.5KB)(0)
- DSC_5294.jpg (58.8KB)(0)
- DSC_5328.jpg (23.7KB)(0)
- DSC_5332.jpg (25.5KB)(0)
- DSC_5342.jpg (17.4KB)(0)
- DSC_5344.jpg (19.6KB)(0)
- DSC_5347.jpg (21.8KB)(0)
- DSC_5363.jpg (59.1KB)(0)
요놈들이 조베 호수라는 곳에서 물장난하는 바람에 용왕님이 노했는지^^ 그날 새벽부터 비가 오기 시작해서
그 다음 날 산행은 완전 최악, 공포의 시간이었답니다.
내려가는 온도와 비로 저체온이 되어 모두 큰일 날 뻔했어요.
가도 가도 산장은 나오지 않고, 손은 곱고 바람 때문에 비옷이 날려 앞을 가리고....
아! 여기서 끝이구나 이런 생각도....;;
사람이 아무리 잘났다 해도 자연이 한 순간 뒤통수 팍 치면 꼼짝 못하는 거잖아요.
본옴므라는 산장에 도착해 사발에 담긴 핫쵸코와 커피를 마시는데~ 완전~~
겨우 다시 살아났답니다.
거의 90도에 가까운 절벽에 놓인 철사다리며 발 딛는 장치며 모두 최소의 장치를 해서 자연을 훼손하지 않은 것도
참으로 인상적이었답니다.
인공적인 계단이 거의 없는 것도요.
아! 그리고 아이들을 데리고 간 것이 아니고, 아이들이 저희들을 데리고 갔답니다.^^
막상 거기에 가 보니 많은 분들이 나이가 많은 분들이었어요.
젊은이들은 페러글라이딩이나 암벽, 빙벽 등반, 또 산악자전거를 하기 위해 많이 오고요,
순수한 등반하시는 분들은 거의 나이 많이 드신 분들이 대부분이었어요.
거의가 부부가 같이 왔고요. 깎아지른 절벽에 놓인 계단에 주저 앉아 올라가지 못하는 아주 연세가 많은 부인도 있었어요.
아무 일 없이 집 앞에 의자 두 개 내 놓고 지나가는 사람들 바라보며 웃으며 차 마시는 부부.
그게 제일 많이 본 풍경이랍니다.
동창회의 정보부장을 맡아 그 무거운 임무를 조용히 해 내시는 미섭님!
충분히 가능 가능합니다!
언제나 감사해 하고 있답니다.
하이 옥규 ^^
[les demons du reve]
이름도 범상치 않은 멋진 사진들...
알프스 道程을 가슴 속 느낌으로라도 따라갈 수 있게 해 줌에 감사! ^^
산장 본옴므와
클래식기타 친 소년과 무뚝뚝한 할머니의 산장...
짧은 글로도 생생한 그림을 그릴 수 있었어요.
긴 여정 축하하고... 반갑고... 감사하고... ^^
옥규후배!
건강히 잘 다녀갔네요.
웬지 우리 마을근처에 왔었는데 제가 못 만나본 것 같은 기분이 드네요 ㅎㅎ
실감나는 사진 잘 보았어요 ^^
저는 24일부터 29일까지 오스트리아의 스타이어 마르크트 알프스에 있는 친지 오두막에가서 지낼거에요.
물론 등산도 하겠지만 강행은 안 할거구요^^
마지막 남은 여름 방학 알차게 건강하게 지내기를 바래요
언니 저도 그랬어요.
그래도 같은 유럽이고 가까운 곳에 언니가 있다는 생각에 마음이 든든하던걸요.
산에 있을 때는 물론이었지만 그렇지 않을 때도 와이파이가 되는 곳이 거의 없어서
스마트폰은 별로 소용이 되지 않더군요.
제가 프랑스에서 이탈리아 국경을 넘어 갔을 때, 넘어갔다기 보다는 그냥 걸어간 거지만^^(경계가 없다!는 놀라운 경험)
어쨋든 마침 여행 중인 아이도 이탈리아에 있었어요.
같은 나라에 있다는 게 웬지 마음이 그래서 연락해 보려 했지만 되지 않았어요.
아이들이 국경 넘어갈 때(프랑스-이탈리아-스위스-프랑스) 국경 세레모니를 했는데요, 어찌나 웃기던지....
아이들이 조로륵 모여서 손을 아래로 하고 엉덩이를 흔들면서 발을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프랑스 이탈리아프랑스이탈리아프랑스이탈리아
춤을 추더군요. 그리곤 펄쩍!
건강히 지내세요~~~
언제나 감사요 언니~~
각각의 배낭에 꿈을 메고, 하얀 산 앞에 서있는 감동의 모습들!!!
모든 [les demons du reve]님들을 위한 연주...
우리 옥규샘..
몽블랑트래킹!!!
2013년도에도 여지없이 큰일 해뿌렸네..
그 나이에 어디서 그런 용기가 나는 걸까?
그 나이에 어디서 그런 용기가 나는 걸까?
항상 느끼는 것.. 역시 멋진 친구..
무더위에 지친 내게
청명한 하늘과 야생화로 치장한 푸른 언덕, 희긋희긋 눈쌓이 산 봉우리, 용왕님 사시는 호수?...
덕분에 넘 시원타
참으로 대단한 여행을 거침없이 다녀 온 것 같아 감탄이 절로 나오네!
사진들 하나하나도 그 곳의 아름다움을 전해주는 전령사 처럼 밝게 빛을 발하는구나.
청춘은 아름답다고 누가 말했던가?
나이에 구애됨 없이 실행에 옮기는 그 열정이 청춘이다!
마지막 사진에서처럼 광활한 대지에서 맘껏 꿈꾸고
자유를 향한 몸짓에 거침 없기를!
옥규야, 대단하다 *^^ *
???산사진 찍는 대장님?
저렇게 선명하게 좋은 사진을 찍을려면 사진기가 얼마나 무거운 것인줄 알기에
정말 감탄에 감탄을 한다.
옥규!!!!
정말 대단해!!!
부러워!!!
모든 것이 먼지 같더라구 ^^ 에구
라는 글귀가 망치에 머리를 한번 맞은양 먹먹하다.
맞아요 언니.
그분을 보면서 사진을 찍으려면 체력이 좋아야겠구나 많이 느꼈어요.
특히 산 사진은요.
남들보다 훨씬 먼저 가서 자리를 잡고,다시 또 걷다가 훌쩍 앞으로 가서 자리를 잡고,
일행 맨 뒤에서 사진을 찍고 또 다시 앞으로 가고.
한 명 한 명 걷는 거 찍으면 자연히 뒤로 가게 되잖아요.
정신차려 보면 벌써 저 고개를 넘어가고 있고.
사진이 있으면 하나 올리려 했는데 남들 사진만 찍느라 본인 사진이 없네요.
카메라는 항상 자식처럼 몸에서 떨어뜨리지 않더군요.
주로 어깨에 둘러메고 남들처럼 스틱도 사용하지 못하고요.
그분 까페를 보면 오늘의 사진이란 난이 있는데요, 어쨋든 매일 한 개의 사진을 찍어 올리더군요.
본인의 말에 의하면 자기가 낸 숙제라고 하더군요.
아침에 대학로 근처 집에서 걸어 북악산을 넘어 인왕산을 넘어 남산까지 걸어 직장이 있는 종로 5가로 간다더군요.;;
언니는 열심히 운동하니까 오래오래 잘 찍을 수 있을 거예요.
열심히 걸으세요 언니~~
학생들 동반하고? 와~~~
눈에들 비경을 콕~ 박고 왔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