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 5장 38-48

36 또 눈은 눈으로 이는 이로 갚으라 하였다는 것을 너희가 들었으나
39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악한 자를 대적하지 말라 누구든지 네 오른편 뺨을 치거든
    왼편도 돌려 대며
40 또 너를 고발하여 속옷을 가지고자 하는 자에게 겉옷까지도 가지게 하며
41 또 누구든지 너로 억지로 오 리를 가게 하거든 그 사람과 십 리를 동행하고
42 네게 구하는 자에게 주며 네게 꾸고자 하는 자에게 거절하지 말라
43 또 네 이웃을 사랑하고 네 원수를 미워하라 하였다는 것을 너희가 들었으나
44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원수를 사랑하며 너희를 박해하는 자를 위하여
    기도하라
45 이같이 한즉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의 아들이 되리니 이는 하나님이 그 해를
    악인과 선인에게 비추시며 비를 의로운 자와 불의한 자에게 내려주심이라
46 너희가 너희를 사랑하면 무슨 상이 있으리요
47 또 너희가 너희 형제에게만 문안하면 남보다 더하는 것이 무엇이냐
    이방인들도 이같이 아니하느냐
48 그러므로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의 온전하심과 같이 너희도 온전하라

보복법에 대한 재해석

"눈은 눈으로 이는 이로 갚으라" 는 보복법은 원래 법정 재판에서 죄에 해당하는 공정한
법을 부여함으로 개인적인 보복의 악순환을 방지하기 위해 제정된 율법입니다
그러나 바리새인들은 이 규정에 근거하여 보복과 분풀이를 정당화하고 있었습니다
이것은 개인의 대인관계에서 사랑과 용납의 정신을 일관되게 강조하고 있는
율법의 정신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성도가 복수심이 치밀어 오를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어떻게 하는 것이
옳바른지를 보여주시기 위해 세 가지 경우를 예로 들고 있습니다

뺨을 때리는 것은 다른 체벌과는 달리 인격에 모욕을 주는 것입니다
채무자의 속옷까지 압류하는 것은 율법에서도 금하는 가혹한 처사입니다
또 군수물자 운반을 위해 로마 군인이 식민지 민간인들을 억지로 징용하는
것은 역시 울분을 참기 힘든 상황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심한 경우는 아니지만 상대방이 무엇을 빌리려고 할 때는
평소에 자기에게 한 만큼만 해주고 싶다는 생각이 가장 치열해지는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바로 이런 경우에도 복수할 생각을 하거나 소극적으로 끌려가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마음으로 상대방을 도우라고 하셨습니다
이 같은 사랑이야말로 증오의 사슬을 끊고 관계를 회복시킬 수 있는
최상의 방법이며 율법의 참뜻을 완성하는 최선의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이웃 사랑의 재해석

"이웃 사랑"은 율법의 총 요약이라고 할 만큼 중요한 계명입니다
그런데 유대 율법사들은 이 계명을 해석함에 있어 "이웃" 의 대상을 그들이 친구로
간주할 수 있는 사람들로만 국한했습니다
그러다보니 "이웃을 사랑하라"는 가르침에 "네 원수를 미워하라"라는 가르침을
스스로 만들어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이 계명의 뜻이 원수를 사랑하고 박해하는 자를 위해 기도하라는
것임을 분명히 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성도가 왜 이런 사랑을 실천해야 하는지 두 가지로 설명해 주셨습니다

첫째는 그것이 우리가 아버지라고 부르는 하나님의 모습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악인이나 선인 의로운 자나 불의한 자 모두에게 햇빛과 비를 주시는
은혜로운 분이십니다
자녀인 우리는 이 같은 아버지의 모습을 닮아가야만 합니다
그렇게 될 때  세상사람들은 우리를 하나님의 자녀로 인정하게 될 것입니다

둘째는 우리의 사랑이 세상 사람의 그것보다 더 낫기 위함입니다
자기를 선대하는 자를 사랑하는 것은 모든 사람에게 당연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사랑이 그 정도밖에 안 된다면 세상은 우리가 말하는 하나님의
사랑을 결코 믿지 못할 것입니다
성도는 선을 악으로 같는 악마적인 사랑이나 선을 선으로 갚는 인간적인 사랑이
아니라 악을 선으로 갚을 수 있는 신적인 사랑을 실천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