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날 보름달이 휘영청 환하다.
6살 조카아이가 보름달을 가리키며 저 달을 보고 자기가 소원을 방금 빌었다한다.
"무슨 소원인데?"
"그건 비밀이라 말 할 수 없어. 그런데 고모도 소원을 빌었어?"
그 질문에 나 자신도 놀랐다.
왜냐하면 최근에 보름달을 보고 소원을 빈 적이 없으니까.
그렇지만 아이에게 그렇게 이야기 할 수는 없으니 당연히 고모도 소원을 말했지 했더니 대뜸 "뭐라고 빌었어?" 한다.
"네가 비밀이니까 고모도 당연히 비밀이지만 네가 살짝 이야기하면 고모도 말해 줄 수 있어"
그 말에 호기심이 생겼는지 빙긋이 웃으며
"예원이는 유치원에서 친구들과 사이좋게 놀게 해 달라고 했고 또 한 가지는 친구들보다 밥을 빨리 먹을 수 있게 해 달라고 했지."
웃음이 피식 나왔다.
밥을 늦게 먹는 것이 얼마나 스트레스였으면 저렇게 이야기 할까?
그리고 서둘러 재촉을 한다.
고모는 달을 보고 무엇을 빌었냐고.
어떤 이야기를 해야  예원이가 제일 좋아할까 해서 이렇게 이야기했다.
"정말은 달님을 보고 고모의 미운 얼굴이 예원이처럼 예쁜 얼굴이 되게 해 달라고 빌었어."
"내일 아침에 일어나면 제일 먼저 거울을 봐. 만약에 예원이 얼굴이 고모 얼굴로 바뀌어 있을지도 모르니까. 알았지?" 했더니
"아마 그런 일은 없을거야. 달님은 내 편이니까....." 하며 깔깔 웃는다.
우리의 대화를 듣고있던 예원이 아빠가 한마디 한다.
누나가 그러니까 예원이가 자기가 제일 예쁜 줄 알고 벌써부터 거울 앞에 붙어 앉아 있어 걱정이라고.;

 

추석.....
어릴 적엔 무조건 설레고 기다려지던 한가위 명절이었는데
결혼과 더불어 큰 무게로 다가오면서  힘들다 힘들다 하면서도 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
음식을 정갈히 장만하고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는 일에
흩어진 가족이 오랜만에 함께 하는 것은
힘든 세상살이에 그래도 올 수 있는 고향이 있고 나를 믿어주는 가족이 있다는 뿌리에 대한 회귀현상이 아닐까?
예쁘지 않아도 예쁘다고 말해주는 사람들이 있고
지금은 비록 힘들어도 너는 해 낼 수 있다고 믿어주는 사람들이 있고
내가 울고싶을 때 실컷 울라고 가슴을 내어주는 사람들이 있는 곳이라서
그만큼의 댓가를 치르고도 조상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명절이 있는 것은 아닐까?

 

가정은 모든 것의 근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급속도로 번져가는 사회문제로 가정이 해체되어 가는 모습을 보면서 새삼 명절의 중요성이 깨달아졌다면 아이러니일까?
남편의 빈자리가 커 보이는 날
삶에 지쳐서 달 한번 제대로 쳐다 볼 낭만도 꿈도 없어져 버렸지만, 이 날 하루만은 아이들에게 강요를 한다.
무슨 일이 있어도 명절엔 집으로 돌아와 함께 있자고.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고
친정으로 가서 하루를 끝맺는다.
7녀 1남이라 번다한 친정은 40여명이 시끌시끌하다.
아버지는 여전히 누워 계시고 엄마는 진두지휘를 하는 가운데
한 방에서는 고스톱이, 한 방에서는 술판이, 다른 한 방은 자느라 정신이 없고,  당구장에 PC방에 제각각이지만 웃음소리가 끊이지를 않는다.
2살 부터 85세까지 좁은 집안에서 복딱이는 명절날
누구는 죽고 누구는 결혼을 앞두고 있고 누구는 공부때문에 누구는 일때문에 멀리 가 있지만
씨줄 날줄이 얽히고 설켜 세상이 돌아가듯 가정이라는 울타리 속에 세상이 돌고 도는 것은 아닐런지.
어린아이는 산너머 무지개 꿈을 꾸고 어른들은 꿈을 잃어가고
그렇듯 달도 차고 기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