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당 서정주 시인은 "국화 옆에서"란 시에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

라는 명시의 귀절을  남기셨다.

그 주인공인 소쩍새가  저녁이면 우리집 울안에서 며칠전서부터 울기 시작했다.

어제는 이른 아침 나절서부터 갈아놓은 밭에 고추며 파며 상추 등등 여름내 먹을 채소 묘종을

심었다.  큰 마당에서 얼마 차지하지않는 밭임에도 불구하고  늙은이 둘이 부치기에는

이젠 힘에 버겁다.

산이애비가  관리기로 갈아 주고 만들어 준 밭에 모종을 옮겨 심는 간단해 뵈는 일이지만

구멍을 뚫고 물을 주고 포토에 있는 묘종을 뽑아서 하나 하나씩 심고 다독여주는일이

해마다 하는 일인데도 이젠 힘에 버겁기조차 하다는 이야기다.

허리와  다리가 아프기도하고 봄볕이 뜨겁기도하다  뭔일인지 겨울이 엊그제 같았는데

봄날씨를 훌쩍 뛰어넘어 그냥 여름날씨이다.

이마로 땀이 흐르고  여러종류의 채소를 골고루 심다보니 점심때가 훌쩍 넘어간다

서둘러 간단하게 점심을 마련해서 마당 평상위에서 때우고는

며칠동안 요긴하게 반찬 걱정을 안 하게 해준 물김치가 떨어져가니 서둘러 농협에서 김치거리를 사다

절여놓았다

그러구러 훨쩍 저녁때가 되어오는데 손주녀석들 마당에 할아버지 할머니가 나와 있으니

어린이집에 다녀오면서 반갑게 달려들온다.

지엄마가 먼곳으로 출퇴근하는 바람에 툭하면 할머니가  마중을 해야 할것같다......."에구 그래도 구여운 내 새끼들!"

서둘러 저녁 준비를 하다보니 밖이 컴컴해진다. 

겨우내 몸져 누웠다 기사회생한 산이할아버지 일 속도가 더디다. 

숨도 차고 허리도 아파서 하다 쉬다 반복이다.

그래도 이게 웬 복이란 말인가 말이다.

걱정 걱정하던 밭일도 해 치우고 말끔하게 풀밭도 정리하기 시작하는데 그저 일이 더딜 뿐이니

이만하면 행복이지 또 다른 무엇들을 더 바랄것인가!

나무마다 잎이 무성해지니 울안이 풍성해지고  그늘도 많아지고 온갖 새들이 날아들고

고로쇠나무 꽃에 벌들이 떼로 몰려들어 윙윙 거린다.

텃나무라고 할 정도로 큰 나무가 되어 안마당에

 햇볕강한 한낮에는 평상에 누워있으면 차양막을 친듯 그늘을 만들어준다.

하루해가 저물어 석양도 넘어가고 어둑해 지기 시작하니 정자옆 후박나무에서

소쩍새가  "소쩌억~ 소쩌억~ "울기 시작한다.

"에구~ 어찌 그리 구슬프게 우느냐~" 산이 할아버지 소쩍새 우는소리에 한소리 한다.

밭에서 일한 뒷설거지를 하는 산이할아버지를 두고 나는 저녁을 차리느라 집안으로 들어와서

저녁 준비를 하면서 친구에게 전화를 한다.

" 너..... 우리집에 온 소쩍새 우는 소리 한번 들려주마".......전화기를 창문밖으로 돌려놓고 들려준다"

"들리니?......".........."어....들려 들리는구나" 소쩍새 우는소리도 나누어 듣고싶은 이즈음의

마음이다.

공해가 심해지니 소쩍새도 점점 휘귀새가 되어간다고한다  참으로 안타까운 시점이다.

손주 산이가  오늘 아침 어린이집을 가는길에 나가보니 산이에미가  이야기를 전한다

새벽에 일찍 선잠이 깬 우리산이 에미한테 하는말  "엄마~ 저 새는 왜 저리 우는거야?"

예민하고 영민한 손주 산이 소쩍새 울음이 벌써 마음에 지피는가~

"아가야~ 너 커서 할미집에서 울던 소쩍새가 그리울라~"

할미는 소쩍새가 슬피우는 그 밤이 오래도록 지속되길 바란단다.

허리가 아프고 몸이 고달퍼도 채마밭 일구고 먹을거리 만들어 먹을 수 있는 마당에서

소쩍새 우는 소리를 듣는 세월을 살고싶은것이다.

 

nhnsvc.jpg

소쩍새 암수 한쌍

 

*****

소쩍새의 특징과 관한 글

특징

야행성이며, 적색형도 있다. 야산, 공원의 나무 구멍에 둥지를 틀며, 봄부터 여름까지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다.

한국의 올빼미과 조류 중 가장 작다. 발가락에는 깃텃이 없다.

4월 중순이 되면 소쩍새들은 약 500m 간격을 두고 앉아서 초저녁부터 새벽까지 쉬지 않고 울어댄다.

이 때 우는 것은 수컷 뿐인데, 이들은 짝을 찾기 위해서, 또 어린 새끼와 먹이, 장소를 지키기 위해서 울어 대는 것이다.
소쩍새와 두견은 많은 사람들이 두 종을 혼동한다.

왜냐하면 높은 나무 비슷한 장소에서 낮에 두견을 발견하는데, 그 위치에서 밤에는 소쩍새가 울어 혼동하게 되었다.

야행성인 소쩍새는 잘 발견되지 않고 낮에 보면 두견이 발견되므로

 대부분 두견이 소쩍 소쩍 하고 우는 것으로 알게 된 것이다.

이에 관해 자규, 접동새,귀촉도등의 이름으로 많은 설화와 시가 남아 있다.

김소월은 접동새 전설을 바탕으로 ‘접동새’라는 시를 쓰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