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 흑백 영화에 관한 편견을 깬 영화....

The Artist



01153240_1.jpg
 
 
 

감독: 미셸 하자나비시우스(Michel Hazanavicius)

출연: 장 뒤자르댕 Jean Dujardin( 조지 발렌타인 역)

베레니스 베조 (Berenice(페피 밀러 역)

존 굿맨 (제작자, 알 짐머 역)

제임스 크롬웰 (비서 겸 운전기사 크리프턴 역)

 



 

01153241_10.jpg
 
 
01153240_4.jpg
 
 
 

이 영화는 프랑스에서 만든 미국 영화다.

 

흑백에 무성 영화라고 하여,

심심하고 재미없을 거라는 단정을 내리고, 보지 않고 지나쳤던 영화.

정숙이 생일 축하 하러 부에나 팍 까지 가서, 점심 먹은 후

우리는 갑자기 영화를 보러갔다.( 혜옥. 정숙. 나)

 

무성 영화라지만, 첫 장면부터 흐르던 탁월한 음악으로

영화를 지루하지 않게 하고, 영화를 영화되게 하며

배우의 눈빛과 표정과 몸짓만으로도 점점 몰입하게 하는 영화다.

 

 



01153240_5.jpg
 
 


01153240_6.jpg
 
 

The Artist한마디로 무성 영화 배우(Silent Movie Actor)의 얘기다.

 

 

배경은 1920년대 말부터 30년대 초반까지 헐리우드의

무성영화 시대에서 유성영화 시대로 넘어가는 격동기가 배경이다.

 

남자주인공 조지(장 자르댕 분)은 무성영화 시대 최고의 스타다.

 

그가 등장하면, 인파가 우르르 몰려들고

어느 날, 조지를 보려고 몰려 든 사람들 틈에서

손지갑을 떨어뜨린 한 여자-페피 밀러가 손지갑을 주우려다 조지와 부딪치게 되고

급기야 대 스타 조지의 볼에 키스를 하게 되는데

이 장면이 신문에 실리게 된다. Who’s That Girl?이란 타이틀로.

 

배우 지망생인 페피 밀러는 그 후 배우가 된다.

조지의 조언에 따라, 입술 위에 점 하나 찍은 얼굴로 등장하게 되고

서서히 그녀의 인기는 올라가는데,

유성영화의 도래와 함께 최고 스타 자리에 오르게 된다.

 

이미 유성영화 시대로 접어들어, 무성영화는 사양길로 접어들자

조지를 후원했던 제작자마저 무성영화 만들기를 거부하자

조지는 사재를 털어 영화를 제작하고,

결국은 무일푼이 된다.

 

아내도 떠나고 집도 없어지고, 옷은 모두 전당포에 잡혀 돈으로 바꾸고도 모자라

그가 가졌던 모든 장식품, 조각. 초상화 등을 경매에 붙이게 된다.

 

 

허탈한 조지는 집으로 돌아와, 왕년의 필름들을 꺼내보다가 급기야는

화재를 내고, 죽기 직전에 애견에 의해 구출 당한다.

 

거리에서 조지를 만났고, 조지의 조언에 따라 입술 위에 점을 찍어

영화배우가 된 페피는 인기스타가 된 뒤에도

늘 조지를 지켜본다.

재산을 잃고 몰락해가는 조지를 안타까워하며

그에 대한 애틋한 사랑을 키워가고 있다.

병원에서 조지를 그녀의 집으로 모셔와, 그를 돌본다.

 

 

조지의 몸이 회복단계인 어느 날,

호화저택에 살고 있는 페피의 집을 둘러보다가

어느 방에서, 경매에 붙여졌던 조지의 아끼던 물건들이 고스란히

페피가 사들인 것을 알게 되고

 

 

 

 

불탄 자기 집 방으로 돌아와서, 권총자살을 시도하는데.....

 

 (줄거리는 여기까지만.....)

 

 



01153240_7.jpg
 


01153241_8.jpg
 


01153241_9.jpg
 


01153241_11.jpg
 


01153241_15.jpg
 
 

장 자르댕은 배우로서, 배우 조지 역을 연기하는데

그의 눈빛과 표정과 몸짓은 과히 명배우다웠다.

 

하나 빼놓을 수 없는 것은 그의 애견 우기(Uggie).

단단히 배우 몫을 해낸 우기.

불이 나서 죽어가는 주인을 살리기도 하며

주인의 마음까지 꽤 뚫어 보는 듯한 우기의 연기는 과히 일품이었다.

 

조지의 개인 운전기사역의 키가 큰 미국 배우 아저씨도.

 

 

 



01153241_13.jpg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작품상. 남우주연상. 음악상을 받았다.
 


01153241_14.jpg
 
 
 프랑스의 감독 미셀 하자나비시우스와 그의 아내
여주인공 페피 밀러 역을 맡았던, 베레니스 베조
 
 
 
 
 
 

 

 이미지는 Daum에서, 음원은 You Tube에서.

 

 

 

 

 

 21세기형 무성영화가 성공할 수 있을까?

해외 평단과 관객의 열렬한 지지, <아티스트> ‘Perfect!’한 기적을 이뤄내다!

3D 영화들이 점령한 21세기에 느닷없는 무성영화의 출현. 트렌드에서 벗어난 도전으로,

심지어는 시대착오적인 선택으로 보이기까지 했던

<아티스트>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불가능한 프로젝트라고 얘기했다.

하지만 미셸 하자나비슈스 감독은

제작자 토마스 랑만의 전폭적인 지지와 신뢰를 바탕으로

지금의 관객들에게 보여줘도 전혀 손색이 없는 재미있는 무성영화를 만들고 싶다는

자신의 판타지를 완벽하게 실현시켰다.

 

 

<아티스트>가 공개된 이후 평단의 반응은 엄청났다.

롤링스톤의 유명 평론가 피터 트래비스는

<아티스트>는 액션, 웃음, 눈물 그리고 또 다른 세상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까지

우리가 영화를 보러 가는 모든 이유를 집약하고 있다.

당신은 그저 말을 잃고 이 영화를 보게 될 것이다.’고 극찬했다.

 

뉴욕타임즈와 워싱턴포스트, 가디언 등 유명 언론 매체도 각각

위대한 영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모든 것이 담긴 매력적인 작품!’,

‘<아티스트>는 나이, 성격, 취향을 떠나 모든 이들에게 손색 없는 최고의 선물 같은 영화이다!’,

완벽하게 매혹적인 러브 스토리이자 영화가 엔터테인먼트로서 이룰 수 없는 최고의 기적!’

이라는 표현을 쓰며

<아티스트>에 대한 찬탄을 아끼지 않았다.

 

 

이어 세계적인 시사지 타임(TIME)이 주저 없이

<아티스트>2011년 최고의 영화 1위로 선정, <아티스트>에 대한 관심은 정점에 오른다.

 

 

영화를 만난 해외 관객들의 반응 또한 뜨거웠다.

프랑스 개봉 당시 박스 오피스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현재 절찬 상영 중인 미국에서도 상영관이 계속 확대되고 있는 <아티스트>

영화 전문 사이트인 로튼 토마토에서 관객평점 5점 만점에 4.3점을 기록,

응답자 중 91%‘like’ 항목을 선택해

관객들과의 소통에도 성공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관객들은 무성영화에 대한 고정관념이 완전히 깨졌다.

너무나도 사랑스러운 무성영화!’

너무나 행복하고 새로운 경험을 준 영화라는 반응들을 보여

<아티스트>의 엔터테인먼트 무비로서의 가능성을 확인시키고 있다.

 

개봉하는 곳마다 흥행 불패 신화를 기록하며

평단과 관객을 열광시킨 <아티스트>

오는 2, 국내에서도 정식으로 개봉

 

 

해 또 다른 기적을 이뤄낼 것이다!

 

 

 

<이 글은......Daum에서 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