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활용하는데 유용한 정보나 팁을 알고 계시면 이 곳에 올려주십시오.
내가 알고 있는 작은 팁이 때로는 다른 사람에게 대단한 정보가 되기도 합니다.
 |
|
 | | | 자녀의 마음을 알려면 자녀와 눈 높이를 맞춰야 하듯이 스팸메일의 유해성을 자녀에게 알려주기 위해서는 먼저 부모도 컴퓨터와 이메일을 알아야 합니다. 자녀와 이메일 편지를 주고 받으며 거부감 없이 이야기 하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입니다. | | | | |  | | |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들어 온 스팸메일에 대해 무조건 자녀를 혼내고 윽박지르는 것은 자녀에게 괜한 거부감과 호기심만 증폭시킬 뿐입니다. 자녀와 마주 앉아 스팸메일의 유해성에 대해 충분히 토론하고 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 | |  | | | 스팸메일이 기승을 부리는 원인 중의 하나는 닫혀진 공간에서 사용함으로써 나타나는 이용자의 은밀한 호기심 때문이기도 합니다. 컴퓨터는 거실 등 가족 공동의 장소에서 공개적으로 사용하시고 아이들과 함께 올바른 인터넷 이용문화를 경험하고 이해하는 게 중요합니다. | | | | |  | | | 음란메일에 첨부된 도메인에 들어가는 순간 해당 개인의 이메일은 만천하에 자동으로 공개됩니다. 따라서 음란스팸메일은 물론 화려하고 원색적인 제목의 이메일이나 자신이 모르는 사람이 웹메일 주소를 사용해 보낸 메일도 열어보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 | | | |  | | | 스팸메일 하단에 있는 수신거부 단추를 클릭 하는 순간 해당 이메일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는 증거를 남기게 되어 끊임없이 불법 스팸메일이 수신됩니다. 직접 회신기능을 이용하여 스팸을 보내지 말라는 경고문을 보내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 | | | |  | | | 한국정보보호진흥원 불법스팸대응센터(02-1336, www.spamcop.or.kr) 또는 공정거래위원회( www.nospam.go.kr)에 즉시 신고하세요. 신고하실 때는 스팸메일 원본, 수신 거부 후 다시 보내온 스팸메일 등의 3가지 자료를 첨부하시면 됩니다. | | | | |  | | | 개인이 사용하는 이메일 서비스 기능 중에서 특정 송신자가 보내는 메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수신거부 기능과 특정 단어가 들어가는 메일을 차단하는 필터링 기능을 활용하면 스팸메일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 | | | |  | | | 무료로 배포되는 스팸차단 CD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관련 사이트를 통해 무료 다운로드 받으세요. 한국정보보호진흥원 (www.spamcop.or.kr)의 '스팸캅'프로그램, 공정거래위원회 (www.nospam.go.kr)와 청소년보호위원회 (www.youth.go.kr)의 '청소년유해차단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 | | | |  | | | 이메일 주소를 만들 땐 처음부터 믿을 수 있는 유명 이메일 서비스 제공업체를 선택해서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믿을 수 있는 업체만이 회원 개인의 신상자료를 완벽히 지켜줄 뿐만 아니라 스팸메일을 막아주는 1차 방어벽이 되어주기 때문입니다. | | | | |  | | | 대부분의 유명 포털 사이트에서는 만 13세 미만의 어린이에게 어린이 전용메일을 무료로 발급하고 있습니다. 이메일 서비스 제공업체가 자체적으로 스팸메일 차단을 강화한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때문에 음란불법 메일 차단에 효과적입니다. (어린이 전용 메일 보급 업체 : 주니어 네이버, 야후 꾸러기, 다음 꿈나무, MSN 키즈 등) | | | | |  | | | 개인의 이메일 주소는 예금통장번호와도 같습니다. 여러 사이트에 가입하는 횟수가 많아질수록 이메일 주소는 세상에 쉽게 노출됩니다. 꼭 필요한 사이트에만 가입하시고 보안 수준이 낮은 사이트에 가입하실 땐 별도의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세요. 그리고 너무 쉬운 이메일 주소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 | | |  | | | 불법스팸메일은 날마다 새로운 단어와 방법으로 날아들고 있습니다. 따라서 '컴퓨터 대청소의 날'을 정해 주기적으로 컴퓨터에 저장된 불법유해 정보를 삭제하고 스팸메일 필터링 기능을 다시 수정,점검 하는것이 좋습니다. | | | | | | | | | | |
Copyright ⓒ 2003 - 2016 inil.or.kr All rights reserved
관리책임자 : 정보부 / kmoon3407@koreapos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