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 독일동문 두분이 모국을 방문하여 어제 만났습니다.
41년만에 절친을 만나게 된 것이 홈페이지 덕분이라며 감사의 뜻을 말씀하시더군요.

홈페이지를 마음의 고향으로 여기고 참여하는  외국에 거주하는 동문들이 모국을 방문 시,

감사의 뜻을 전할 때 제 나름대로 무척 보람으로 여기는 부분입니다.

 

요즘 동문들의 화두는 단연 50주년 행사에 관한 이런 저런 이야기일 것입니다.

오랜만에 뵈온 스승님에 대한 반가움,가수들의  공연, 연혁관, 50주년 편찬사,발전기금등  다양한 의견들이 오고갑니다.

대선배님 몇 분이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동창회 50년 역사에서 8/50 가지는 비중은 50/50에 해당할 만큼 의미가 있지 않겠나 하시더군요.

 

저는 지금부터 아래와 같은 글을 씀에 있어서 전영희 개인이 아닌, 정보위원장 자격이 아닌,

 24,769명 중 한 일원으로서, 그리고 대학에서 역사를 전공하고 일선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역사과목을 가르친

교사의 입장에서, 그리고 무엇보다 8/50의 시작을 담당했던 한 사람으로서 이 글을 쓰고자 합니다.

 

행사 후 몇 분에게 저는 이런 이야기를 전해 듣습니다.

왜, 편찬사의 홈페이지 탄생과 정보화 부분에 전영희이야기가 없느냐는 것입니다.

CD는 잘 보지 않게 되어 그제서야 저는 책을 열어보았습니다.

 

편찬사  제작 과정에서

개인 소장기록이나 기타 다른 원고와 달리 동창회 역사 중 일부분에 대한 산 증인으로서

정보 기록에 대한 원고 제의가 없어 의아하다 싶었습니다.

안되겠다 싶어 편찬위원장과 회장님에게 이 부분에 대한 것을 넣어야 함을 이야기 하자

그제서야 제출 허락을 받아  제일 먼저 경기여고 100주년 정보화 기록 부분을 찾아 참고를 했습니다.

명문답게 정리가 대단히 잘 되어 있었기에 그 부분을 참고로 저는 A4 용지  5쪽에(표지 1쪽 포함) 걸쳐 기술을 하였습니다.

 

그 동안에도 홈페이지 역사에 대한 것은 제가 중간중간 자유게시판에 올렸고,

그 기록은 컬럼에도 복사를 해서 자료로 보관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자료들은 사실에 기초한 것이고 아무래도 제가 가장 많이 알고 있다는 것을

동문 여러분들도 대략 알 것입니다.

 

A4 4쪽의 분량이 양이 많아 반으로 줄였다는 말을 임원회에서 듣긴 했었습니다만

만약 분량이 많다면 파일을 반환받아 제가 수정을 했어야 하는 것이 순서가 아니었을까 하는 결과론을 이야기 해봅니다.

 

서론이 길었군요.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50주년 편찬사 240쪽 03 동창회 홈페이지와 정보화교육 챕터 첫줄- 둘째줄 부분을 보겠습니다.

제가 보낸 원고의 초반 부분이 모두 빠지고 왜곡되게 표현되어 있음을 보고 놀라지 않을 수 없더군요

두리둥실 얼버무려 표현한 귀절은 

 

인일여자고등학교 총동창회 홈페이지는 정보화 시대를 맞아 열린동창회를 지향하는 동문들의 뜻이 모아져 2003년 8월 1일 탄생했다고 기술되어 있습니다.

 

 

원문은 이렇습니다. 문장가가 아니기에 다소 문장력이 미흡하지만

언제 누가 어떻게 무엇을 ... 역사적 사료에 기초한 이런 기본적인 기술 내용입니다.

 

 

시대적 변화에 의한 열린 동창회를 지향하는 동문들의 뜻이 모아지고 홈페이지를 통한 동문 정보화 물결에 동참하고자 하는 1회 허 회숙 선배님(당시 인일여고 교장으로 재직 교장님)의 인터넷에 대한 마인드가 모아져 두 달의 작업 기간을 거쳐 2003년 8월 1일 탄생하였다. 2003년도 당시는 홈페이지 제작에 대한 제반 여건이 성숙되지 않아 11회 전 영희 동문이 비용을 대어 inil.or.kr 도메인 작명과 호스팅을 임대했고 제작을 무료로 하였다.

 

이후 운영 역시 전 영희 동문 맡아 봉사를 해주었다. 여러 가지 어려운 가운데서도 3회 박 광선 동창회장님(산부인과 전문의로서 당시 동창회 총동창회장)의 홈페이지에 대해 재정적, 정신적 뒷받침이 있어서 튼튼한 기초를 짧은 시간에 이룰 수 있었던 점도 기억해야 할 것이다.

 


 

 241쪽 2-3 줄에

정보위원장(구, IT위원장)의  기록도 빠져 있습니다.

아래의 원문에서 윤혜경, 김영주 위원장의 이름도 삭제가 되어있습니다.

 

 

 

홈페이지 규모와 참여인원이 점점 증가하여 서버가 다운되는 일이 잦아져 보다 안정적 운영을 위해 공식적으로 7회 김병숙 동문을 초대 위원장으로 하여 IT정보위원회가 동창회 산하기구로 조직되고 회칙이 2004년 8월 30일 통과 되었다. IT 정보위원회는 IT위원회, 정보위원회로 개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7회 김병숙 동문에 이어 3회 윤혜경 동문, 7회 김영주 동문, 11회 전영희 동문 제 4대 정보위원장으로 이어지면서 안정을 꾀하게 된다.

 

 

 

하루 접속인원 1000명을 상회하고, 댓글이 하루 200여개 올라오며 

회원수가 2000명/24,769명으로 동문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50분의 8년이

불과 1쪽 반에(사진 두장 포함) 해당하는 의미로서 50년사에 기록될 만큼 미약한 것이었는지 의구심을 갖게 됩니다.

어차피 책은 출판되었고 정확하지 않은 기록은 그대로 후배들에게 100년사까지 갈 것입니다.

좀 더 동창회 시대별로 분담해서 증언과 자료들을 기초로 검수하는 과정을 거치고

전문기록자에 의해 문장화하는 과정이 아쉬움으로 남는다는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수원여고, 이화여고, 경남여고 등, 다른 여학교 동창회에서 인일홈피를 부러워하며

인일 홈페이지를 벤치마킹하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 동문들에게 직접 들었을만큼

우리 모두는 홈페이지를 자랑스러워하고 있습니다.

 

그간 수많은 사람들에 의해 이 곳은 다듬어지고 채워지고 수놓아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후배들에게 남겨주어야 할 것은 바로 이러한 선배들의 노력과 앞서가는 미디어 정신이라 생각합니다.

 

50주년 축제도 끝났고, 4월도 이제 마무리가 되는 시점입니다.

잠시 잠깐 화려한 꽃이 피고지면 파릇한 새순이 돋지요.

화려함은 순간이지만 새순은 연록에서 푸르고 푸른 녹음으로 이어져 한 여름을 우리에게 선사합니다.

앞으로도 홈페이지에서 새순이 솟듯 많은 만남과 소통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기를 바래봅니다.

 

참고로 편찬위원회에 제출했던 홈페이지와 정보화에 대한 원본 화일과

2003년 이후 홈페이지에 기록된 총동창회 큰 행사기록(회장별로) 정리 파일을 첨부하여 올리겠습니다.

문장력이 미숙한 부분이 있음도 아울러 말씀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