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회 - 게시판담당 : 윤순영
바로 그 신랑 함민복 시인이 10년 전에 쓰신 <부부>라는 詩인데
오늘 조간에 어제의 그본인의 결혼식장 풍경과 함께 올라
이 시인의 詩 세계를 알게 해줍니다. 김정웅 시인의 場에 함께 올릴 수 없기에 따로 올려봅니다.
부부
긴 상이 있다.
한 아름에 잡히지 않아 같이 들어야 한다.
좁은 문이 나타나면
한 사람은 등을 앞으로 하고 걸어야 한다.
뒤로 걷는 사람은 앞으로 걷는 사람을 읽으며
걸음을 옮겨야 한다.
잠시 허리를 펴거나 굽힐 때
서로 높이를 조절해야 한다.
다 온 것 같다고
먼저 탕 하고 상을 내려놓아서도 안된다.
걸음의 속도도 맞추어야 한다
한 발
또 한 발
주례 김훈 소설가가 아침을 집을 나서며 주례하러 간다고 했더니, [소설가의 부인]은
'당신 자신이야말로 좀 새로운 인간이 되라'고 했답니다.
시인 이정록 씨는 축시(아래)를 낭독했다고 합니다.
우주의 놀이
천년 고목도
한 때는 새 순이었습니다.
새 촉이었습니다.
촛불을 밝힌다는 것은,
새싹 기둥을 세우고
첫 잎으로 지붕을 얹는 일입니다.
온누리 사람들
처음엔 모두 갓난아기였습니다.
배냇짓이었습니다.
장가든다는 것은,
이슬비치는 자궁 앞에 무릎을 꿇고
글을 받아내는 작가가 되는 일입니다.
대팻밥 아기 기저귀를 함께 차는 일입니다.
태초의 말씀들
두근두근 옹알이었습니다.
숨결마다 詩였습니다.
시집간다는 것은,
떡잎 합장에 눈 낮춰 맞절하며
말씀을 숭배하는 것입니다.
새싹이 자라 숲이 됩니다.
아이가 자라 세상이 됩니다.
살림을 차린다는 것은,
새싹 신랑신부의
영원한 소꼽놀이입니다.
사랑사랑, 배냇짓 춤입니다.
화촉을 밝히는 순간
태초가 열립니다. 거룩한
우주놀이가 탄생합니다.
시인 김요일씨는 "강화도에 가면 혼자 사는 노총각이 궁상의 모든 것을 다 보여줬다. 여름에 가도 추워보였다.
결혼을 하니 내 마음이 다 따듯해 지는 것 같다" 고 활짝 웃더랍니다.
하객 중에 시인부부는... 결혼은 하지 말걸 그랬다...고 했다네요. 그런데.... 이번 7기 크루즈 여행에 미혼인 친구를 염려하면서
하는 얘기가 단 하루라도 결혼은 해야한다! 지론을 가진 친구들이 있던데요. 그래서 이제는 병마를 이겨내고 화사한 웃음을 웃는
그 친구 사진을 찍어주며 다들 미아이 사진 하라고 부추겼습니다.
예, 영선언니~~
감사하게도... 참 행복합니다.
지난 주말, 며늘아이 손잡고 애비뉴엘 구경을 갔는데... 손이 얼음같이 차요, 키만 멀대같이 크고...
그래서 아유, 우리 아들이 이 찬손을 잡고 다녔나? 하면서 넌 좋겠다 이 찬손을 따땃하게 혈액순환 잘되게 해줄 새엄마를 만났으니...
그랬더니 아들 曰 나도 찬데 뭐. 그러네요. 제 속으로 (그래, 니둘이 한팀해서 덤벼봐라! 그나저나 이렇게 손이 차면 임신 등 얼매나
문제발생이 심각할 수도 있는데.... 넌 엄마 잘만난겨, 다 고쳐줄테니...ㅎㅎ) 그랬죠 ㅎㅎ
???순애씨!!!
며느리 사랑이 지극 한 걸 느끼겠네요.
그나 저나 전공 잘못 택한거 아닌가?
의학을 했으면 명의가 될 수 있었을텐데.......
순애후배가 미국에 오면 나 꼭 사혈 해 줘야해.
내가 보기보담 겁이 많이 많아 용순이가 해 준다는것도 거절했엇는데
여러사람들이 효과를 보는것을 보니
나도 한번 받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
내 진료비는 단단히 내리라~~
춘자언니.... 용순이도(베테랑!) 온희사모도 아주 잘합니다.
우선 급한대로 사혈받으시면 되어요, 별다를없슴다, 그리고..........아주 곧 나으셔요. 그담 제가 LA가면
전문인의 사혈 맛보여 드립니다.
마침, 제 실험실에 다사랑 함초코리아 양사장님께서 2박3일로 제 실험실에 와계신데요, 여러 업무 차-.... 이분이 이가 너무 아파서
견디다 못해 칫과에 가셨습니다. 그런데 저는 칫과 가시지 말고 오시면 풍치혈 사혈해드립니다.
했었기에.... 좀 삐졌거든요. 오셨는데, 잇몸 고름만 짜고 이를 갈아버리지도 않았고 빼지도 않았다... 하시며 아파죽겠다 하심다.
그래서 풍치혈 사혈해드렸는데.... 이분이 기절했어요! 넘 좋다고 ㅎㅎ
?주례를 김훈씨가 했다니 김훈씨 답네요.
두번째 시집을 냈을때 .........김훈씨 신문사 문화부 기자시절에
산이 할아버지 취재차 찾아와서 가까워 졌었지요
16년 만에 ( 왕성하게 시를 못 쓰다가 ) 산이 할아버지가 세번째 시집을 냈을때 많이 반가워하면서
연필로 쓴 편지를 정성스럽게 보내 준 <칼의 노래>의 작가가 된 김훈씨는 나도 영영 잊지 못합니다.
강화도에서 어렵게 어렵게 시를 쓰는 시인 함만복시인
오십에 시작하는 소꼽놀이가
재미있는 소꼽놀이로 지속되길 바랄뿐이지요......................나는....
(아래방 <....크로키...> 어머니 싸이트 올려준 댓글에 답 댓글 올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