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종 ' 새터민 '

요즘 내가 나한테  갖다 붙인 적절한  타이틀이야.

탈북하여 한국에 정착한 사람을 ' 새터민' 이라고 한다며 ?

나는 탈북자는 아니다만

위에서 내려 온 사람이나

밑에서 올라 온 사람이나

이전에 먹고 살던 형편이 좀 다르다 뿐이지 ,   이 땅에 발 붙여 보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는 건 마찬가지니까.

 

일본에서 온 지  한달이  채 안됐어.

물론 거제도로 왔지.

아파트는 미리 얻어 놔서 바로 들어갈 수 있었는데 사람만 왔지  배로 오는 이삿짐이   오지않아서

우리 시엄니한테서 이부자리 한 채와 소소한 살림살이를 빌려와

뜨네기 살림을 3주동안 하면서리

화장실 변기 닦는  솔  나부랑이 부터 자동차까지 사들이고 나니 이삿짐도 오고 ~

 

1년이 걸릴지 2년이 걸릴지
새 집을 지을 동안 살거니까 짐은 다  풀 필요도 읎구,

집 지을 때 같이 맹길어 붙여 버릴라구

가구란 걸 가져 오지도 않고 사지도 않다보니 책 한 권 꽂아 놀 데가 없네.

아직 풀지 않은 박스는 한쪽에 쌓여 있고,

테레비는 책이 든 박스 위에 올려놓고 보고

PC는 전자레인지 들었던 빈 상자 위에 놓고 뚜드리니

'전위 예술가의 집 ' 이 따로 없다.

 

살림살이야 그렇다쳐도

나는 요즘 떠블 펀치를 맞은 사람 처럼  얼뻥하게 휘청거리고 있다.

적지 않은 세월을  왜의 무리 속에 살다보면

닮을라고 애 쓰지 않아도 ' 왜의 문화와 그 상식 ' 이  배이게 마련인데

한국인과 일본인이 다르고

같은 내 나라 안에서도  윗동네  아랫동네의 기질이 다르잖아.

경상도 문딩(해당자들에겐 미안)들은 참말로 감당이 안된다.

아이도 남아 있고 남편의 회사일도 있어서 1, 2년은 수시로 넘나들며 살아야 할테고,

집 짓기를 벌려 놓으면 그것두 일이 많을테니

친구들아  !

소식이 없어두

' 떠나 온 델  또 갔는갑다 '

' 집 짓는데서 뺑이를 치고 있는 갑다 '   하구   그냥 냅둬 주라.

 

이 글 생각나니?  

 2년 전쯤  우리 게시판에  썼던 건데  붙여 본다.

                    +                       +                      +                          +

 

             꿈   꾸는   귀향

         ================ 

 

바다가 삐끔이 보이는
지세포 볕 바른 둔덕
지금이야 한 길씩이나 자라 서걱거리는 억새가 우거져 있지만
언젠가
이 사고무친 타관살이를 마치고 돌아가
참한 내터로 일궈 볼 꿈을  꾼다.

투박한 큰일이야 기계를 대고,
노련한 손놀림이 가야 할 일은 거기 걸맞는 품을 사겠지만
우리 내외도 뒷짐지고 구경만 하진 않을 작정이야.
숱한 날들을 한데서 뒹글다 보면 얼굴은 볕에 끄슬르고
손은 가랑잎 처럼 거칠어지겠지.
솜씨 좋대서 모셔 온 호락 호락하지 않는 기술자양반은 사흘돌이로 나를 천불나게 하리란 것도 짐작하고 있어.
아마 내 분수에 넘치게 횡덩그레 하지도 않고 그다지 옹색하지도 않은 허우대의 집 한채가 겨우 모양새를
갖춰갈 무렵이면 내 머리가 홀딱 셀지도 모른다.

그라고 나면
나무를 심는다.  

지금 있는 유자나무 서른그루 말고도  단감나무, 매화나무,  동백과  석류  키위와 머루

내 代 에 따 먹지 못 한다 해도  그건  상관 없다
그  갈피에  원두막과 토담집 하나 박아 놓고,
오다 가다 걸터앉을 편편한 돌이 있으면 주워다 놓을까 하지만
내 힘에 부치는 것을 억지로 욕심내진 않으려고 한다.

키 작은 나무로 담을 두르고
비 오는 날을 기다려
꽃 모종을 심어야지.
키가 크는 놈은 뒤켠에 심고
땅을 발발 기는 놈은 앞쪽에 심는 게 정한 이치건만
어린 새순만으로 그 키를 가늠할 재간이 내겐 읎으니
첫해엔 아마 들쑥 날쑥 할거야
내 솜씨가 그렇지. 뭐.

비록 입때까지는
뿌리 가진 생명을 잘 간수하지 못해 죽이기를 거듭했어도
물어 물어 가며 텃밭에 푸성귀를 심어 먹을 야무진 포부도 있어.
아욱도 심고, 호박도 심고, 토마토도 심어 거두고,
물론 옥수수도 심지.
고구마?   노란 참외 ?
제법 기술이 필요한 건 낭중에 심어 보기로 하고.

수확이 보잘 것 없어도
우리 두 양주가 무슨 수로 그걸 다 먹어 치운단 말인가?
난 바리 바리 싸서 내 동생네도 보내고
나의 볼품없는 농작물을 시시하게 여기지 않는 도시의 친구들에게도 인심쓰고 싶다.
한 겨울에도 바람찬 밭에 옹크리고 서 있는 배추의 노란 속고갱이가 얼마나 고소하고 달달한지
凍土의 아파트族은 아마 모를거야.

이런 찬란한  꿈을 꾸지만
걱정도 한두가지가 아니야.
지금 나의 형제 절반은 나 맹키로 제 나라에 제 집을 두고도
오랫동안 딴 나라에 살거나 모두 도시에 살고 있으면서
늙으막엔 좀 가까이 모여 어울려 살자고  구슬르고 있지.
뚜욱  떨어져서   너무 외롭지 않겠냐고 걱정하는 이도 있는데
그건 견딜 만 할 거야.    말이 안 통했던 딴 나라에서도 십년을 넘게 살았는데.   그거야 뭐.
다만 이 나라에 혼자 남겨 둘 우리 아이 생각에
해가 뉘엇 뉘엇 질 무렵이면 남녘 먼 하늘이 자주 봐질테니 그게 심란스럽지.
날이 갈수록 영락없는 村婦가 되어 가는 내 모습도 그렇고
일 태배기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생활도 짜증이 나겠지.   사서 하는 고생 후회도 될거야.

노년엔
내가 가진 것을 나누며 살고 싶은데
맨날 ' 욕심을 버려야지 ' 입버릇 처럼 말은 하면서도  돈 욕심이 나면 우짜지?
사람은 그리워 하면서도
그 먼 데까지 우릴 찾아 오는 손님이 구찮아지면 우짜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