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사람을 만나다 보면
나는 한가지 습관에 젖어 어느새 내 나름대로 상대방을 분석하고 있는 나를 발견하곤한다.
우리는 자연의 일부인데 봄 여름 가을 겨울 중 어디에 속할까
꽃으로 치면 무슨 꽃이 가장 어울릴까
색깔은 어느 색일까
끝없이 이어지는 질문들.............
이것은 나의 못된 습관일까?
1월 29일 김혜경 선배님의 귀국에 맞추어 사진동호회의 번개팅이 송도에서 있었다.
"아리 아리랑"이라는 조촐한 한정식 집엔 20여명이 모여 오늘의 만남을 정답게 녹이고
공교롭게도 오늘이 김영주 위원장의 생일임을 안 전영희님의 센스로 케잌이 준비되고 촛불잔치가 화려하게 열린다.
빨간색 포도주가 가득 찬 예쁜 유리잔을 부딪치며
"환영합니다" "축하합니다"를 연거퍼 외치며 차유례 회장님의 간단한 환영사가 이어지고
여기저기에서 김혜경 선배님께 드리는 선물 증정식이 있다.
특히 서예가 김영희님은 내일 모레가 입춘이라고 손수 "입춘대길"을 손수 써서 선물로 가져와 모두의 입을 벌어지게 한다.
이렇게 기회가 닿을 때마다 달려오는 동문들은
재주가 너무 많아 만날 때마다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오늘의 주인공인 김혜경 선배님은
이런 열의에 그냥 돌아서기가 아쉬운지 본격적인 카메라 작동법 강의에 들어간다.
우리는 복이 얼마나 많은지....
미국에서 강사를 초빙해 강의를 듣는다고 누군가의 말이다.
초등학교 5학년 때 사진을 처음 배우고, 그 후 피아노를 전공했으나 심한 손가락 관절염으로 연주를 그만 두고 말았으나
예술에 대한 끼는 어쩔 수 없어 미국에서 다시 시작한 사진예술
정식으로 대학을 다시 졸업하고 작품활동에 여념이 없었던 지난 10년 세월을 딛고
이제는 어엿한 사진작가로 활동하고 있는 김혜경 선배님
이런 선배님에게서 듣는 강의는 남다를 수 밖에....
주로 인물을 찍는다는 이야기를 듣고
그것도 아름다움 보다는 분위기에 중점을 둔다는 이야기를 듣고 문득 선배님은 어떤 사람일까 궁금했다.
계절로 치면 가을에서 겨울로 가는 길목에 서있는 여자
장미꽃 보다는 은은한 향기가 좋은 하얀 찔레꽃같은 여자
색깔은 연보라빛의 여자
이런 여자가 김혜경 선배님이 아닐까 감히 단정지어 본다.
언제나 청바지 차림에
수수한 단발머리
그리고 화장기없는 얼굴이 예사롭게 보이지 않는 것은
이런 예술가의 끼가 강하게 서려 있음이 아닐까 해서 부럽기조차 했다.
언제나 나는 저런 향기를 스스로 낼 수 있으려나 생각하니 한숨이 절로 나온다.
저런 열정에 취해 눈을 반짝이며 듣는 동문들의 진지한 모습 또한 아름답다.
중년의 나이임에도 한 가지라도 더 배우려 돋보기 꺼내들고 열심히 쓰는 동문들.......
유독 나만이 다른 생각에 젖어 있는 시간
격자무늬 창문 너머로는
겨울답지 않게 햇살이 쨍쨍한데 하얀 눈발은 계속 나린다.
옛 어른들은 이런 날은 여우가 시집가는 날이라고 "여우눈 오신다" 라고 했는데
저 예쁜 눈은 찍을 생각도 안 하고 강의에 열중인 IIcc회원들
특히 7기의 유순애님은 올 때마다
하나라도 좋은 것을 알려주려고 애를 쓴다.
이번엔 기공체조에 관한 자료와 7기 친구인 가스펠가수 엄현숙의 CD를 나누어주고
또한 유별나게 아끼는 10기의 안명옥님(전직 국회의원 보건복지부소속)을 가입시켜 큰 박수를 받았다.
이런 주려는 마음이 더욱 모임을 훈훈하게 한 오늘
정을 듬뿍 안고 돌아오는 길엔 아스팔트도 여우눈에 우리의 쌓인 정만큼 촉촉히 젖어있다.
김혜경!
예술가의
끼가 강하게 서려 있음이 아닐까 해서..... 부럽기조차 했다.
그 여인 맞습니까?
항상 노력하는 그 모습이
친구일지라도 존경스럽습니다.
뚱뚱하지 않아서 그럴까요?
자주 한국에 오셔야 되는 일로 김혜경 선배님이 힘들까봐 걱정이 돼요.
만나는 기쁨은 크지만 피로하실 게 염려되는 거지요.
무거운 카메라에 비해 가느다랗고 긴 선배님의 손가락.
선배님, 자주 오셔도 힘들지 않게 아주 아주 건강하셔야 해요.
많이 불편하신데도 따님을 보고 크게 기뻐하셨다는 아버님 이야기에 가슴 뭉클했어요.
내가 아플 때 고쳐주시고 우리 아들이 아플 때도 돌봐 주셨던 잊지 못할 분이시지요.
쾌차하실 수 있기를 기도 드립니다.
산학후배의 글은 늘 말하지만 항상 포근하고 따뜻하고 정감있는
글로 그냥 산학후배 글에 젖어 들고만담니다.
산학후배의 혜경을 가을에서 겨울 길목에 서 있는여자,
향긋한 하얀 찔레꽃 같은 여자라... 정말 어찌 그리 알맞는
혜경의 표현일까 합니다. 사진 공부 많이 하셨는지요??
김숙자 선배님
뵌지가 엊그제 같은데 그 날이 벌써 추억의 한 페이지로 넘어갔네요
편안하시지요?
실은 누구를 표현할 때 참 조심스럽답니다.
몇번이나 보았다고...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속은 모르는 법이라고들 하는데 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첫인상은 지울 수가 없지요
더 더군다나 글은 그 사람 자체이고요.
친구이신 김숙자 선배님이 맞는 표현이라 하시니 주제도 모르고 오늘 기분이 우쭐하네요.
그리고 사진공부는요
남들은 다들 열심인데 저는 "공부" 라는 단어하고는 거리가 영 멀어서 일찌감치 포기하고 말았답니다.
공부는 싫어요.
?김혜경 선배님, 늦었지만 인사 드립니다.이 글을 보셔야 할텐데요.
선배님 건강하신 모습 뵈니 정말 반갑습니다.저번에는 7기까지 오셔서 좋은 음악 올려주셔서
감사했읍니다.
저는 제가 마음에 와닿은 시 한편 보내드립니다.??
겨울 연가
정 태현
눈은
그리움에 사무친
누군가의 숨결이
하얗게 얼어 버린 것
바람은
정념에 불타던
누군가의 사랑이
싸늘하게 식어 버린 것
오늘도
눈이 내리고
바람 부는데
내 사랑은
어디서 무얼 하나?
눈이여 내려라.
이 가슴이 묻힐 때까지
바람이여 불어라
이 심장이 식을 때까지
겨울은
차갑도록 순결한 누군가의
미치도록 뜨거운
사랑이다.
?PS : Nicola di Bari 의 < 마음은 짚시> 보내 드립니다.
재화야
바쁜 중에도 아름다운 시까지 올려주고 고마워.
미치도록 뜨거운 사랑은
차가운 겨울도 뜨겁게 만든다는 "연애의 법칙"을 세월과 함께 어느새 잊고 말았는데
너는 왜 아직도 잊지 못 하고
"어디서 무얼 하나?"라며 궁금해 하는 것일까?
한선민 선배님,안녕하시지요?
제가 어려서 같이 송림동천주교회에 다니셨던 선배님이라
뵙고 싶었어요.
김혜경선배님은 송림동 천주교회에서 피아노반주하셨고
저는 나중에 송현동천주교회에서 미사때 반주했지요.
선배님, 요즈음 어떻게 지내시는지요?
선민선배님도, 언제 또 뵈올 기회가있으실지 기다려집니다.
새해에도 더욱 건강하시고 즐거운 나날이 되시길
빌어봅니다. 늘 염려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산학아, 그날 내가 하도 맛있게 먹으니까 북어찜과 산적도 싸주고,,,,
너무 마음 써주어 고맙다. 인천에서 자라서 지금도 시장가면
살아있는 게가 있는가 한번씩 보곤 해. 사실 나는 요리 잘하는 네가 부럽구나.
한번 신세진 것만으로도 족하다. 고마워. <진실> 이란 낱말이 새삼 생각키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