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지난 번 눈이 많이 온 후 올려보려 했으나 임시저장 해두고 마무리를 하지 못했습니다.
뒷북이지만 작업해 두었던 것이라 일부 수정하여 올려볼께요.
정초 눈내리던 새벽에 시작한 글이랍니다.
============================================================================
간밤에 눈이 내린 줄 몰랐다.
뉴스를 듣고 블라인드를 말아올려 창문을 여니 아직도 동이 트기 전이라 주변은 희끄무레하였다.
자동차 소리 하나 들리지 않는 고요~ 그 자체였다.
창문 안으로 눈가루가 바람에 쏟아져 들어왔다.
어쩌겠는가~
정초에 마무리할 작업 끝낼 때까지는 카메라를 손에 안 들려했는데
내 손에는 벌써 카메라가 들려 있었다.
창문을 닫은 뒤 아침일을 끝내고 다시 열자 창문 턱에 쌓여진 눈이 보란 듯이 버티고 있었다.
세상이 온통 하야니까 아름답다는 것은 순간적일 뿐
오가는 자동차 소리도 안 들려 숨막히듯한 정적이 불편해서 일부러 눈을 밀어 밖으로 뿌려버렸다.
망창을 흔들어 창틀에 쌓인 눈을 짓꿎은 어린아이처럼 밖으로 뿌려버렸다.
점팔렌즈로 바꾸고 줌인하여 나뭇가지에 쌓인 눈을 찍어보았다.
마음 속으로는 멋진 장면을 찍고 싶은 마음이 솟구치고 있으면서도
몸을 움츠리면서 밖으로 나갈 엄두가 나지 않았다.
창문으로 들이치는 눈가루가 책상 위에 몽올몽올 물방울로 변해있었다.
이번에는 앞 베란다로 진출하기 위해 두꺼운 스웨터를 찾아 입었다.
일찌감치 지하에 주차 잘했지.
눈 덮힌 장난감 나라에 온 듯하다.
빨간 자동차는 세상을 인테리어하듯 앙징맞고 가장 튀어보였다.
혹시 몰카 찍는다고 앞동에서 항의들어오면 어쩌나 싶어 빼꼼히 , 아주 빼꼼히 도촬을 감행했다.
역시 아름다운 것은 순간일 것이다.
오종종 걸어가는 행인.
" 엄마~ 오늘 꼼짝 말고 집에 계세요 "
출근을 늦지 않고 무사히 했다는 문자와 함께 덧붙힌 메세지가 웬지 가슴 한 구석을 따뜻하게 해준다.
종일토록 집에 계세요, 집에 계세요 집에 계세요. 집에 계세요.
딸이 낫지.
귀국한 사할린 동포들이 거주하는 회관 정경이 잡혔다.
보기는 아름답게 보여도 그 주변은 늘 외로움을 떨쳐낼 수없는 역사가 병풍처럼 둘러싸여 있다는 생각이 든다.
봄, 여름, 가을, 겨울,
내 카메라에 단골 메뉴처럼 등장하는 곳이다.
이 장면을 찍는 순간은 눈보라가 몹시 심하여 눈을 뜨고 내다볼 수없을 정도였다.
밖으로 나가서 찍어볼까?
아냐 추우니까 다시 뒷베란다로 가보지 뭐.
인적도 없는데 열심히 출입통로를 만드는 아저씨가 보였다.
눈을 치우면 또 쌓이고 또 치우고 또 쌓이고.
앞뒤 베란다를 오고가며 문을 여닫기를 수차례
렌즈를 바꾸어가며 열심히 찍었다.
추워서 나가기 밍그적대고 있지만 실제는 할일이 아직 남아있다는 부담이 앞서서 일게다.
그럼에도 나는 카메라 놀이만 아침에 하고 있다.
요장면은 동영상에서 캡춰를 했다.
역시 도촬이다.
헤드라이트 불빛이 하얀세상에서 왜 그리 포근해 보이나.
평상시 눈도 주지 않던 것에 의미를 두고 해석하는 것도 오늘같은 날이어서 그럴게다.
눈 치우는 아저씨의 손짓 하나하나에 세상의 의미를 두어본다.
근데, 이 난리북새통에 차를 가지고 나가려나보다. 참으시지....................... 요 아저씨.
방금 전 봉고차 바퀴가 헛돌아 장정 서너명이 밀어서 움직였던 자동차가 바로 옆에서 나갔다.
그 장면을 찍으려는데 렌즈를 바꾸는 동안 그만 가버리고 말았다.
저 아저씨는 결국 시동 걸고 나가시네.
부디 길에서 자동차 헛바퀴 돌지 않기만 바래본다.(동영상에서 캡춰 )
요녀석들 보게나.
키가 작으니 자동차에 올라가서 눈을 털어내고 있었다.
아이들에게 이런 즐거운 놀이는 흔치 않을 것이다.
밖으로 나가고 싶은 충동이 다시 솟구치기 시작했다.
집에 계세요 집에 계세요 딸래미 목소리를 귀에 담아 걸고 결국, 밖으로 나갈 준비를 했다..(동영상에서 캡춰 )
현관을 나오자 앗! 자전거닷
서순하선배님이 찍은 자전거 나도 찍어보자
적당하게 눈에 파묻혀있고,알맞게 비스듬하다.
눈이 치워지기까지 저 자전거는 저 자리에서 저렇게 있을 것이다.
쩜팔렌즈로 가까이에서 찍으니 마음에 쏘옥 들게 나온 사진이다.
사진을 수도없이 찍어도 마음에 드는 것은 별로 없어 모두 쓰레기통에 버리고 마는데
가끔 이런 사진은 나 혼자서 흡족하다.
제목을 모라고 할까......
돌아오지 않는 봄. 노 리턴 오브 스프링. 쿄쿄.
방황,
.........................................
사실 이 사진을 찍을 즈음엔 밖에 나온 것을 후회했다.
눈이 많이 왔다고 뉴스에서 계속 이야길 했고, 창문 밖으로 내다보며 많이 오고 있구나 했어도
실제로 나와보니 발목을 넘어 거의 무릎까지 육박하는 눈이 쌓여있었다.
그 길은 언덕길이라 제설작업도 하지 않아 자동차도 다니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눈은 계속 쌓여서 어딘가를 밟으니 인도와 도로를 구분하는 턱이어 앞으로 꼬꾸라질 뻔했다.
아뿔싸 , 딸래미 말대로 집에만 있어야 하는데 이거 큰일 났구나.
푹푹 빠지고 걷다가, 한사람만 지나갈 수있는 외길로 가다가
마주오는 사람과 서로 몸을 비스듬히 빗겨야만 지나갈 수있는 길에서
귀가를 포기하고 찍은 사진이다.
별 장면도 아니나 등산하는 셈 치고 찎은 것이다.
푹푹 빠지며 한걸음 한걸음 나아갈 때마다 히말라야 정복하는 기분으로 전진하였다.
히말라야 등산 길에 얻은 예쁜 장면이다.
나는 카메라로 대상을 포착할 때 망가지고 부서지고, 헐벗은 장면에 시선이 먼저 간다.
지난 가을의 흔적이 몹시도 애처로워 보였다.
우리가 언제 저런 자동차에 시선을 넉넉히 준 적 있는가.
오늘은 길가에 방치된 듯 눈에 덮힌 이삿짐 센터 차에 눈길을 잠시 건네었다.
전화번호를 지울까 하다 그냥 두겠다.
공삼둘괄호팔일일다시팔둘둘사
가고자 했던 목적지에 도달하자 한 가족이 사진을 찍고 있었다.
모델인 아이들은 눈 위에서 신나게 뒹글며 놀고 아빠는 열심히 찍고 있었다
줌인하여 아래와 같이 도촬을 감행해 본다.
넘어질까바 오종종종 걸어 올라갔더니 허리가 아팠다.
사실 내가 넘어지고 엎어지고 하는 장면을 찍고 싶었다.
근데 그 순간 왜 서순하선배님이 왜 생각날까.
수도업이 찍었는데 나중에 컴퓨터로 보니 제대로 맘에 드는 사진은 없고
이 사진이 가장 마음에 드는데 다른 분들은 어떻게 보실지 모르겠다.
그러면서 해는 벌써 지기 시작했다.
하루종일 하얀색만 보다 해가 지는 순간 잠시 날이 맑으며 서쪽에 노을이 비쳐졌다.
광각렌즈로 바꾸어 찍었는데 별루다.
그런데 고등학교 때 본 천지창조 영화의 하늘이 떠올랐다.
어설프게 찍어 놓고 해석으로 90%는 넘어가는거지.
안 그러면 저 사진은 쓰레기통으로 가야하니깐.^^
내려오는 길은 더욱 힘이 들었다.
미끄러질까바 보폭을 짧게 하고 걸으니 시간이 어떻게 갔는지 어둠이 내려버렸다.
사실 이번 달은 중요한 특강들이 있다.
그동안 일반인 대상으로 강의를 여러 해 했지만 1월엔 대학교수들을 대상으로 한다.
나에겐 나름 중요한 첫경험이다.
올 한해도 한걸음 한걸음 어제보다 조금씩 나은 모습의 내가 되었으면 하는 소망을 가져본다.
늦었지만 새해 인사와 함께
저를 기억해 주시는 선후배님들께 올 한해도 뜻하시는 일 모두 이루시기를 바래봅니다.
- IMG_8826.jpg (238.6KB)(0)
- IMG_8827.JPG (282.2KB)(0)
- IMG_8849.JPG (207.5KB)(0)
- IMG_8864.JPG (217.6KB)(0)
- IMG_8862.JPG (300.8KB)(0)
- IMG_8895.JPG (354.6KB)(0)
- IMG_8903.JPG (252.0KB)(0)
- IMG_8905.JPG (248.5KB)(0)
- IMG_8913.JPG (278.0KB)(0)
- IMG_8917.JPG (295.0KB)(0)
- IMG_8923.JPG (307.3KB)(0)
- IMG_8965_1.JPG (253.3KB)(0)
- IMG_8967.JPG (221.7KB)(0)
- IMG_9018.JPG (217.6KB)(0)
- MVI_9024[23-04-48].JPG (330.5KB)(0)
- MVI_8859[23-01-04].JPG (251.4KB)(0)
- MVI_8868[23-02-55].JPG (220.5KB)(0)
- MVI_8900[22-59-39].JPG (250.9KB)(0)
- IMG_8874.JPG (387.1KB)(0)
- IMG_8874_1.JPG (387.1KB)(0)
- IMG_8958.JPG (183.9KB)(0)
전영희 후배님,
안녕하세요?
새해에 복 많이 받으시고
좋은 일만 많이 있으시고
건강 하세요.
눈을 시원하고 즐겁게 해주는
사진들 모두 훌륭하고 근사하네요.
이종심선배님
새해복 많이 받으셨지요?
잠시 눈인사만 했었지 이야기도 많이 못나눈 기억이 늘 아쉽기만 합니다.
선배님이 IICC에 올린 사진이 김혜경선배님이 촬영하신 사진인 줄 알았어요.
그렇게 잘 찍으시면서 왜 이제서야 홈페이지에 선배님의 출중한 사진 실력을 보여주시는가 하고 섭섭했어요.^^
과거엔 디카보급이 많이 안되어 사진 올리는 사람들이 드물어
저 혼자 이것저것 보이는대로 찍어올렷던 기억이 나네요.
선배님들의 수준있는 사진들이 홈페이지에 많이 올라오는 기쁨이 넘칩니다.
선배님의 구도가 대담한 사진들이 저에겐 퍽 인상적이었답니다.
그리고, 항상 챙겨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이상은 리포터 전영희가 눈 오는 날의 하루를 눈 녹은 후에
인일동문 여러분께 전해드렸습니다. ㅎㅎ
그동안 중요한 일이 있어서 뜸하셨군요.
새해엔 모쪼록 건강하시고 소망하신 일 모두 이루시길 바랍니다.
눈 나린 날은
온통 하얗고 고요해서 좋아요.
과거도 상처도 미움까지도 덮어버리는 눈
한 사흘만 푹 내리면 내 마음도 눈처럼 순결해질텐데....
그런 순결함이 사라지기 전에
다시 한번
아름다움을 선사한 전영희님 덕에 오늘 행복합니다.
전영희 후배가 집안에 있으면서 눈오는 것을 보다가
드디어는 출사를 한 심경이 잘 보이네요^^(사진 제대로 담고 싶은 마음~~)
사진을 요즘처럼 손쉽게 찍기 어려운 시절이 있었지요.
제가 첨이자 마지막으로 엄마가 되던 20여년전 1월 23일도 눈이 무척많이 왔었어요.
창경원근처 서울대학병원 꼭대기층에서 창밖을 보니 하얀눈이 내리더라고요.
그때는 추워서 사진 찍을 엄두도 못하던 해산부 시절이라 남아있는 것이라고는 추억뿐이었는데
2003년 가을 프라하 여행중 딱 맘에드는 설경 유화를 사와서는 감추어 놓았다가
2004년 1월 딸래미 생일 기념으로 개봉한 후 거실에 걸어놓고 사시사철 눈구경하고 있지요.
딸애가 유산상속 1호라며 꽤 좋아한답니다.
"뒷북치는 눈 풍경사진"이라는 제목을 보며 혼자서 미소를 머금어 보네요.
저 깊은 맘속의 추억이 윗사진들을 보면서 아스레히 떠오릅니다.
그때 창가에서 몇장이라도 담아보았을 것을 하는 미련과 함께...
전영희 후배~ 사진 고마웠고요,올해도 평강하고 복된 나날이 되기를 바래요.
김옥인선배님, 저도 오늘 아침은 한분한분 댓글을 달아보면서
사진으로 본 얼굴들을 떠올고 있습니다.
우리엄마 저를 추운 12월에 낳으셨는데 그 때 눈이 많이와 일선에서 군인들이 사망도 했다는 소리를
제가 성장하면서 누누이 노래처럼 들었죠. 무릎까지 빠지는 눈이왔었노라고.
선배님 출산 때도 눈이 많이 왔었군요.
고통 속에 출산을 하고 아이를 가슴에 처음 안을 때 눈물이 핑 돌았던 기억이 나요,
우리엄마 이렇게 고통 속에 나를 나으셨겠구나 싶었던 마음에서였죠.
그런 고통을 세번 겪으며 2남 1녀를 낳았어요.
그런데 첫 아이때 만큼의 감동이 둘째, 셋째 때는 좀 덜하더라구요 ㅎㅎ
가장 대화를 많이 하고 통하는 것은 딸래미입니다.
선배님이 고명딸과 얼마나 알콩달콩할까~ 그림을 그려보는 아침입니다.
정말 작년은 홈페이지에서 김옥인선배님께서 한 획을 그으셨어요.
게시물 콘텐츠의 퀄리티가 한층 업그레이드 된 것을 우리 모두 감사드리고 싶어요.
올해도 선배님만이 표현할 수있는 예술적 현장성을
저희들이 많이 대리경험할 수있기를 바래봅니다.
1)
아이 둘이 빗자루를 들고
아빠차의 눈을 쓸어내리는 사진이 참 좋군요.
심부름값은 얼마나 받았을까?
추위에... 저렇게 내보내야 멋있게 크는 겁니다.
(대전 내 단골 카센터에 훤칠한 미남청년이 늘 추워보이고 애처로와 초코렛이고 사탕이고 집어주는데... 알고보니 사장님둘째아들!
그렇게 험하게 내놓아야 하는 겁니다!)
2)
잘 하시겠지만 교수들 상대로 하는 강의 어려울게 없어요.
그저 다- 유교수 같이 잘 모르겠구나... 하고 날 배워주듯 아르켜 주면 됩니다.
싸부님 반가워유~~
개학이 가까워 오니까 밀린 방학숙제 했지요?
참 잘했어요.
그리고
기상대에 전화걸지 말아요.
날씨는 맑음 아니면 눈이니까 ㅎㅎ
그런데 말이예요
자전거 안장에 눈도 다아 녹았는데 주인님은 어디 계신지 도통 나타나지를 않으시네요.
무슨일이 일어난걸까요?
벌써 10여일이 지났습니다.
그들은 <gentlemanship> 없으면 사는게 무서울 정도에요. 그러니... 서로 그걸 잘 지키는 겁니다.
서로 지켜야 할 <예절>을 만들어 놓고는 무관심한 척 예절 잘 지키는 척; 한편으론
엿을 보느라, 남을 엿보고 싶은거 참느라........ 얼마나 이상한 짓도 많이 한다구요.
제가 영국에 가서는 한달 내- 뒷마당에 시신을 묻은 엽기살인 뉴스가 끊이지 않아서
도대체 이 모든 나쁜 짓은 영국에서 세계로 흘러나오는거로구나...., 생각했었다니까요.
묶여있는 자전거 바퀴를 어찌 엿가락 같이 휘어놓을 수 있는지.... 그네들의 장기에요.
허나
인류의 innovation, 대개 영국인이 시작한 것도 인정합니다.
동 트기전부터 해가 저물때 까지
렌즈 바꾸어 가며 눈 쫒아다닌 지구력에
감탄 합니다.
버라이어티한 사진을 찍을 수가 있었겠지요?
저위에
"점 팔 렌즈" fixed lens인가요?
50 이나 85 혹은 100?
흔하면 귀한줄 모르고
없어야 있을 때의 고마움을 느끼듯
눈이 내릴 때는 모두들 좋아하다가 너무 지나치게 내리니
걸거리에 쌓인 눈이 애물단지처럼 느껴졌지요.
오늘 새벽에 흰 눈도 반갑지 않구요.
추위에 그동안 훈련이 되어서인지 애지간한 영하의 기온에
이제 익숙해졌습니다.
자연환경문제 이제 우리 가까이에 심각한 상황까지 도달한 듯합니다.
더 이상의 눈피해가 없으면 좋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