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어려운 말씀이시라.....
저희는 무가이어서 손무의 손자병법에 대해서는 많이 들었죠.
War Game의 귀재라는 김장군님(4성, 예비역)이 해석한 손자병법 CD도 가지고 있어 살펴보았답니다.
죽간박물관 있는 곳은,
은작산한묘죽간박물관(?雀山?墓竹?博物?)은 린이(?沂)시 란산구(?山?) 은작산(?雀山) 서남 기슭(시정부원내)에 위치해
있으며 성급 중점문물보호단위이다.
1972년 4월 은작산(?雀山) 서한(西?) 1호, 2호 묘지에서는 “손자병법”과 “손빈병법” 죽간을 주 내용으로 하는 선진고서(先秦古籍)를
발견하였으며 이는 건국 이래 10대 고고학 발견 중의 하나로 알려지고 있다.
박물관은 1989년 10월부터 개방하였다. 은작산(?雀山) 한나라 묘의 홀 중앙은 복원한 1호, 2호 서한(西?) 묘혈이다. 부장품을
관곽 안으로 이전하여 진열하였으며, 타원형 전시홀의 사면에는 묘지 발굴 시 현장사진과 출토된 죽간 사진들이 부착되어 있다.
2좌의 한나라 묘지에서는 7,500여매에 달하는 죽간이 출토되었다. 1호 묘지에서 발굴된 죽간에는 “손자병법” 13편, “손빈병법” 16편과
질문(佚文) 5편 등 내용이 기재되어 있고 2호 묘지에서 발굴된 죽간에는 “한무제 원광(元光) 원년 역보(??)”가 수록되어 있다.
현재 은작산 한나라 묘지에서 출토된 죽간은 중국의 군사, 문학, 고음훈(古音?) 및 고대 역법 연구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죽간 진열홀 1층은 “손자병법” 전시코너와 “손빈병법”전시코너로 나뉜다.
사진과 실물을 결합한 진열방식으로 참관자들에게 2부의 병서 죽간, 손자와 손빈의 작전실천, 춘추전국 병기 및 중외 전문학자들의
최신 연구 성과를 전시하고 있다. 2층은 문물 진열코너로 1호, 2호 한나라 묘지에서 출토된 문물 및 1970년 이래
금작산(金雀山)과 은작산(?雀山)에서 출토된 100여좌의 문물들이 진열되어 있다. 그 중 서한백화(西?帛?)는
호남마왕퇴백화(湖南?王堆帛?)에 이어 또 하나의 발견으로 장강 이북지역에서 출토된 유일한 서한백화이다.
......! (이상 구글에서) 중국이나 일본에서 사용하는 생략식 한자는... 어렵네요
권오인 선배님
백호의 해에
태산을 다녀오셨네요.
옛날 중국의 왕들이 즉위 전에 꼭 참배했다는 태산은 그만큼 상징성이 크다지요.
높지는 않아도 왕들에게 줄 가르침이 많았나요?
결국은 인간의 도리를 일깨워주는 영산이네요.
우리나라 정치인들도 심심찮게 찾고
길을 물어 온다는데
무슨 한 소식, 듣고 오셨는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