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_1802897_31197_19.jpg


    국어 산수를 백점 받은 일제고사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고 아침 조회시간에

    부상으로 받은 공책 몇 권을 들고 종례시간이 끝나기가 무섭게 어머니에게

    빨리 자랑하고 싶어 살무니 집으로 내달렸어요.

    길가 빛바랜 풀 섶 사이로 개구리가 폴짝이고 갈색군복으로 갈아입은 메뚜기들은

    용대의 달음박질에 놀라 이리저리 뛰어 올랐죠.

    그날따라 진강산자락 초가집 둥근 지붕이 멀게만 느껴졌어요.


    숨을 까불며 집 앞 대문에 다다랐어요.

    형이 크레용으로 큼지막하게 써 놓은 “큰 대문”이라는 글자가 집을 지키고...

    이웃집 초가지붕엔 희멀건 엉덩이를 자랑하던 박들만이 옹기종기 남아 있었죠. 

    “어머이! 어머이! 저 일등 했시요.”

    그러나 대문은 굳게 입을 다문 채 자물쇠를 달고 묵묵부답 말이 없었어요.

    오늘도 어머니는 논틀밭틀로 눈코 뜰 새 없이 바삐 추수를 하러 가신 것이지요.

    어머니가 집에 안 계실 때는 정말 싫었어요.


    옆집 아주머니 댁에 들러 어머니가 가신 곳을 물어야만 했어요.

    왜냐면 피사리를 위해 새 논으로 가셨는지 아니면 은행낭골 윗마을 밭으로

    가셨는지를 알아야 했지요.

    “새 논”은 어머니가 억척스럽게 일해 사신 논이라 그리 이름이 붙여졌지요.

    세간날 때 비가 많이 내리면 매번 둑이 터져 논농사를 망치는 냇둑 논을 받아

    나오신 것이 한스러워 새 논을 사셨다죠? 넉가래 밭을 팔고...


    “우리 어머이 어디 가셨는지 아시꺄?” 아주머니에게 물었어요.

    “아까 보니까 웃말 밭으로 가시는 것 같더라.”


    “탁! 탁! 탁! 탁!”

    어머니가 하얀 천을 깔고 참깨를 털고 계셨어요.

    파란 하늘에서 내리 쪼이는 따가운 햇볕을 쬐시며 쪼그려 앉아...

    참께는 입이 벌어지기 전에 베었다가 모아 잠시 말린 후 털어야만 했지요.

    수수도 목을 쳐 군데군데 모아놓으셨더군요.

    “어머이! 나 공책 받았어요.” “그래? 어구 내 둘째아들!”

    어머니는 엉덩이를 두드려 주시며 반갑게 맞아 주셨어요.

    머리에 수건을 두르신 어머니 이마 사이로 땀이 주르르 흘렀어요.

    온갖 농사일로 손마디는 굵어 지셨고 얼굴은 검게 그을리셨군요.


    공부 잘했다고 빵을 쪄 주시겠다고 약속하셨어요.

    가방을 내려놓고 몇 이랑 고추밭에 빨갛게 익은 고추를 수고하시는 어머니를

    대신해 따 드렸죠.

    허리를 굽혀 고추를 따다보니 허리가 끊어지는 것 같았어요.

    그러니 매일 논밭에 나와 일하시는 어머니는 얼마나 힘드셨을까요?

    “물커덩.” 고추가 썩어 문드러지는 것이 있군요.

    한 무리의 고추잠자리가 군무를 이루며 이리저리 날아다니고 있었죠.

    비행에 힘든 녀석은 잠시 고추말뚝에 고개를 갸우뚱 거리며 쉬고 있고요.


    참깨 털기를 마치신 어머니는 콩도 꺾으시고 팥도 따 앞치마에 쉴 새 없이

    쑤셔 넣으셨어요.

    까맣게 익은 녹두는 내일 따시겠다고 하셨어요. 노란 조와 같이...

    정말 윗말 밭에는 온갖 곡식이 다 심어져 있었죠.

    이미 거두어진 보리와 밀, 그리고 콩, 팥, 수수, 조, 녹두. 사질토에는 땅콩,

    고추 등 무진장 많았죠.

    콩과 팥은 사발장사가 집에 왔을 때 그릇과 바꾸는데 줄 요량으로 심으셨을

    거예요.

    어머니가 유난히 그릇에 애착을 보이시는데 아마 시집오실 때 제대로 된 밥그릇

    하나 챙겨 오시지 못한 것이 가슴에 남아 그러시는 것 같았어요.

    누누이 말씀하셨거든요.

    그리고 어머니의 서툰 글씨의 외상장부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어요.

    “시태하모이  사발 외사까 사배건”

     "시태할머니 사발 외상값 사백 원"을 그리 적으셨던 것이에요.

    일제 때 보통학교를 다니셔서 우리글을 제대로 배우지 못해서... 


    아무튼 어머니의 정성이 윗말 밭에 고스란히 담겨 있었어요.

    해가 서산에 걸리면 그때서야 어머니는 바리바리 수확한 곡식들을 꾸리셨어요.

    뭇 사내들과 물꼬 싸움을 벌이며 억척스럽게 단련된 어머니의 손잔등도

    새끼줄을 당기실 때만큼은 바르르 떠셨어요.

    몇 번을 오가며 추수한 꾸러미를 나르셨지요.

    발발 떠시며 머리에 곡식더미를 이시다 그만 나동그라지셨어요.

    “에그 머니나!”

    어처구니가 없어 혼자 웃으셨지만 그건 어쩌면 울음이셨는지도 몰라요.

    조실부모하고 아무것도 모르는 남편에게 시집와 온갖 궂은일을 다 하셨으니...

    가을이면 온몸이 만신창이가 되도 자신을 돌볼 틈이 없었죠.

    밤이면 끙끙 앓으시던 어머니...

    그래도 다음날은 어김없이 일어나 또 논밭을 헤매실 것이고...


    그날 윗말 밭에서 수확한 마지막 짐을 나르게 되었어요.

    “용대야, 이건 네가 지게에다 좀 지겠니?” 힘에 부치신 어머니의 부탁이었죠.

    어미 소의 뒤를 따르던 송아지가 “음 메” 하며 산길을 내려왔어요.

    선덕이네 굴뚝에서 저녁연기가 모락모락 피어올랐어요.

    어머니의 가을 일기장을 덮어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