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아득한 옛날부터 한국 민족의 사랑을 받으며 널리 불려진
노래일 뿐 아니라,
오늘날 처럼 남북이 분단되어 올림픽
단일팀이 하나의 국가를 부르기 어려울 때에는 “아리랑
을국가처럼 합창하여 한민족임을 확인한다.
그러면서도 우리국민 거의다가 “아리랑”이 무슨 뜻인가?
를 모르고 있다.“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경기도 아리랑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또는 사투리로 서리서리랑)아라리가 났네/아리랑고개로 날 넘겨주소” ;
밀양 아리랑, 진도 아리랑, 정선 아리랑) 등 에서 나오는
“아리랑",“쓰리랑”,“아라리,“아리랑고개”의 뜻을알아본다.
첫째 “아리”의 뜻
현대 한국어 (“아리다운”=아리+다운)에서 찾아 볼수 있고,
몽골에서 “아리”는 아직도 “고운” “곱다”의 뜻으로 사용되고있으므로 첫째 “아리”의 뜻은 “고운”을 뜻한다.
둘째 “아리”의 뜻
“아리”가 고대 한국어에서 “고운”, ”곱다”로 쓰인 흔적을
현대 한국어에서 “아리다”(마음이)의 동사는
사랑에 빠져 상사병에 걸렸을 때나 마음의 상처를 받았을 때의
표현이다. 이것이 형용사가 되면 “아리”는 상사병이 나도록
사무치게 그리움”을 표현하는 뜻이 되어
이때의 “아리“는 ”(사무치게)그리운”의 뜻이 된다.
“랑”의 뜻
“랑”은 한자로 삼국시대에는“낭(郞 )“자를 써서 젊은남녀를 모두 표현 했다.
통일 신라시대 이후 조선시대에는 남녀를 구분하여 남자는
주로 ”郞“자, 여자는"娘“자로 표시했다.
발음은 모두 “랑”이며, 뜻은 “임”이다.이는 신라향가(鄕歌)의 죽지랑(竹旨郞), 기파랑(耆婆郞) 등이
좋은 예이다.
“아라리”의 뜻
“아라리”는 근 현대에 뜻을 몰라 잃어버린 말인데,
마음이 “쓰리다”는 마음이 “아리다”와 유사어 이다.
이는 ‘상사병’의 고대 한국어 라고 판단된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상사병을 나타내는 ‘가슴아리’
(가슴앓이)에서그 흔적이 어렴풋이 보인다.
,
'쓰리다’를 강조할 때 '쓰라리다‘ 라고 강조사를
넣는 것처럼’가슴아리‘는 ’가슴아라리‘
’아라리‘와 같다.
‘삼국유사’ 등에는 상사병에 걸린 사랑 이야기가 몇 개 나오는데,상사병에 해당하는 순수 고대 한국어를 한자가 수입된 뒤 언젠가
그만 잃어버린 것이다.
민요 ‘아리랑’에 들어있는 ‘아라리’가 바로 ‘상사병’의 순수
한국어 인 것이다.
“쓰리랑”의 뜻
“쓰리랑”은 “아리랑” 둘째의 뜻과 동의어 또는 유사어 이다즉 “쓰리랑”은 마음이 아리고 “쓰리도록 그리운 임“을 뜻한다.
“아리랑”의 가사를 현대 한국어로 리듬을 접어두고 번역하면“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
곱고 그리운 임/곱고 그리운 임/ 사무치게 그리워 상사병이
났네.)“의 뜻이 된다.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 ‘아리랑(이) 고개를 넘어간다’ 라는표현을 운율에 맞추고자“아리랑” 다음의 토씨 ‘이’를
생략 한 것으로서,번역하면 ‘곱고 그리운 임이 고개를 넘어간다’
는 뜻이다. 한국 전통사회에서 마을 공동체의 활동범위를
차단 하는 것은 “고개” 였다. 고개를 넘어가는 것은
다시 만나기어려운 공간으로서 ‘이별“ 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아리랑이 고개를 넘어 간다”는
“곱고 그리운 임과의 이별“을 뜻하는 것이다.
.
위에서의 의미를 유추해 볼때
“아리랑”이 뜻도 모른 채(알았더라도) 일천수백 년을
내려온 것은 이 고대어 속에 현대어로는 치환할 수 없는
절묘한 뜻과 멋이 담겨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신용하” 교수의 ‘새로쓰는 한국 문화’에서-
전영히 교수님~~~~~~~~
전 아리랑이란 단어가 맨날 아리송 했었는데
어느 싸이트에서 우연히 보게되
우리 동문들에게 알리고 싶어 퍼왔어요.
읽고 답글 달아주시니 감사합니다.
미선아.... 나도 아리랑의 진뜻을 이제야 알었네.
그래 요즘 사극을 보니 님이라는 랑을 이름뒤에 부치더군.
유신랑, 알천랑 그렇게 말이지;.... 정말 듣기에 좋구나.
미선랑, 이글이 좋아 퍼가도 되겠지요. 내 친구 교육도 시킬겸 해서....
공부 많이 하고 갑니다. 아주 고마워요.
숙자네~~~~~~
울 3기방 아닌곳에서 만나니 반갑네!
아까전에 커피 공연히 마셨드니 초롱 초롱 눈망울에 잠이 멀리 도망갔어.
숙자랑
함께 컴에서 실시간 나누는 대화속에 점점 따끈 따끈 해지는
우리의 우정!!~~~
애잔한 아리랑의 은율탓으로 잠을 더욱 놓쳐버리는군요.
좋은 글 읽고 갑니다. 미선언니네 "사랑방"에서 아리랑에 대해 더욱 논해 볼까요?
전, 초현랑이었어요.
이 뜻을 맘에 두도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아리랑 노래는 종류도 얼마나 많습니까! 그 모든 variation이 모두모두 멋있잖아요! 대단해요~~
밤새 초현랑이랑 순애랑 다녀갔군요.
지금 울리는곡은 유진박이 전자 바이올린으로 연주한 아리랑인데
언젠가 제가 자유게시판에 올린적이 있어 다시 올려봅니다.
이곡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곡 1위에 선정됐다.
한국인이라면 모두 이 노래를 알 것이다.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작곡가들로 이루어진
세계 아름다운 곡 선정하기 대회에서 지지율 82%라는
엄청난 지지를 받고 이곡이 선정됐다.
선정 과정중에서
단 한명의 한국인도 없었고 이들은 놀라는 눈치였다.
'이곡은 한국이라는 나라를 나에게 깨우쳐줬다'
'듣는 도중 몇번씩 흥이났다'
'말로 표현할 수 없다 감동적이다'
이들 모두 처음 듣는 곡들 이었으며
한국 유명 전자바이올리니스트 유진박이 전자바이올린으로 연주했다
?내 칭구 미선랑!!!
'퍼왔음'은 깜박 잊고,
미선이가 사랑방을 차리드니????하고 갸우뚱,,,,,,,
그러고 보니 아리랑 전체에 맥이 흐르네,,,,,,,
ㅎ,ㅎ,ㅎ 상사병,,,그게 무서운 병인기라,
그 예전에는 총각 처녀가 그 병으로 바짝 말라 죽어 갔단다,
문화권이 자기 표현을 철저히 억눌러야 하던 입장이니, 표현을 못하고,
계급사회에서, 사랑할수 없는 사람을 사랑하는 경우도 많아,
더 했다고 볼 수 있지,
무엇보다 니가 '순자랑'이라 불러주니 내가 더욱 예쁘게 느껴지네???
?
금순랑, 금자랑.... 여기서 만나니 무척 반갑네.
헌디 요즘 Gold Sisters 땜시 무척 헤깔리는데, 다시 자 를 하나 더 부쳐서
금자 낭자?, 금순낭자 가 휄씬 부르기도 좋고 더예쁘고 좋심니다요.
송미선 선배님, 아리랑 얘기 잘 읽었어요.
아리랑에 관한 자료를 좀 더 올려볼까 하다가 시간만 버리고 말았어요.
해야 할 일이 많아서 실제로 해보고 싶은 일은 하나도 못하고
이렇게 하루하루가 가네요.
선배님 댁 사랑방에도 들려보고 싶은데 언제 기회가 될지.....
선배님, 자유게시판에도 지금처럼 글 자주 올려주셔요.
동문들이 북적대니까 훈훈한 느낌이 들어서 정말 좋아요.
영주 위원장님~~~~~
너무 애쓰시는 모습
늘 맘속에 담고있지요.동문게시판엔 언제부턴가 발걸음을 하게 되지 않더라구요.
요리 화기애애하게 서로 답글주며 이야기 나누니 좋네요.
종종 찾아뵙도록하지요.
그리고 우리 사랑방은 언제나 오픈입니다.
어제 금재처럼 불숙 나타나도 밤갑게 만날수있는장소입니다.
유례언니나 전영교수님 시간나면 같이 놀러오세요.
첨엔 혼자 오시기가 좀 그러시면 ......
그래두 언제나 대환영입니다.
선배님 글 읽고
제가 무식했었다는 느낌이 듭니다.
아리랑이라는 단어에 평생을 무심했었으니깐요.
그냥 우리 곁에 항상 있는 단어정도로만 생각했었죠.
챙겨야 할 것에 무심하고
없어지면 그제서야 불편을 알게되는 것이 우리네 일상사가 아닐까 합니다.
미선랑~ *^^*
이리 호칭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