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常識) 뒤집어보기>

 

1: 때론 솔직한 것이 무척 거북하다.    

어느 가족들끼리의 모임에서 ?
A부인:  “참 따님들이 많군요. 근데 전부들 참 이쁘게 생겼어요.”
삼식이: “네. 그리 이쁘게 보아주시니 감사합니다. 다행히 아이들이
                  저를 안 닮고 지 엄마를 닮은 덕에...”
A부인 : “네. 그러네요, 아빠를 닮지 않은 게 정말 천만다행이에요.” 

 

2: 아들에게도 알려주지 않은 청기와 만드는 법
이런 식으로 우리 한국인들은 사랑하는 자기 자식마저도 독점과 욕심의 경쟁대상으로 보아

제조비법(秘法)을 혼자만 간직하다가 죽은 꼭 막히고 답답한 사람이 많아 그 비법이

전수되지 않은 것으로 알기 쉽다. 하지만 그 옛날 청기와나 청자를 만드는 사람들은

지금처럼 예술가 대접을 받는 상류층이 못되고 전부는 아니지만 대개 천(賤)한 계층인 도공이었다.

왕실이나 귀족의 경조사를 당하면 “어느 날까지 무조건 몇 개를 만들어내라.” 해서

그 기한이나 수량을 맞추지 못하면 곤장을 맞거나 자칫 목숨을 잃는 식으로 핍박을 받던 층이었다.

하여 그 아까운 재능이 사장(死藏)되더라도 자기 자식은 차라리 그런 재능이나 기능을 물려받지 않고

평범한 무지렁이로 살며 보통의 길고 안전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한 부모의 지극한 내리 사랑이었다.

 

3: 웃는 얼굴에도 침 뱉고 싶다.
헌혈하기 위한 사전검사로 무심코 한 혈액검사결과가 이상해서 다시

정밀검사와 조직검사를 한 1주일 후 의사를 찾아간다.

마침 열린 문으로 이쪽을 알아본 의사가 반가운 표정으로 어서 들어오라고 손짓한다.

저렇게 활짝 웃는 얼굴을 보니 뭔가 결과가 좋게 나왔나보다.

조금은 느긋해진 심정으로 의사와 마주 앉는다.
의사는 만면에 생글생글 활짝 크고 밝은 웃음과 폴짝 튀어 오르는 목소리로

“역시 예상했던 대로 암이네요.
그것도 한군데가 아니고 두 장기에 깊숙이 자리 잡은 말기 암이에요. ”
“??? !!!”
“당신 배우는 평생 못되겠소, 대사(臺詞)와 표정이 너무 어울리지 않아.

아니 의사선생, 당신도 혹시 암환자요? 그렇담 왜~ 축하합니다.

새로 우리 암조직의 동지가 되신 것을... 이라 하지 않고..”
물론 간(肝) 작은 이식이는 이 말을 속으로만 씹으며 결국 다른 병원에서 수술했다던가?.

 

4: 인생은 평행선(平行線)을 달리는 단조롭고 반복적인 뽕짝 리듬
그 리듬에 한 박자 쉬었다가 하나 둘 셋, 하나 둘 셋,

혹은 하나 둘, 셋 넷, 하나 둘 셋 넷, 식으로 엇박자 스텝이라는 것이 춤이고

따라서 평행선을 달리는 일상(日常)에서 일탈(逸脫)을 할 수 있기에

춤이란 아름다운 유혹이고 영원한 로망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