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와 읽는 동화] 할머니는 알도 못 낳잖아요!/안선모
“아함! 잘 잤다!”

뽕나무 그늘 밑에서 낮잠을 자던 거위 꾸룩이는 입이 찢어져라 하품을 했어요. 하품을 하다 문득 아래쪽을 보니 아랫배가 불룩했어요.

“어, 이상하다. 배가 고픈데 왜 배가 불룩 나왔지?”

꾸룩이는 고개를 휘휘 돌려 할머니를 찾았어요. 할머니는 빨갛게 녹슨 펌프 정수리에 마중물 한 바가지를 붓고 있었어요.

꺼억꺼억. 펌프에서는 트림하는 듯한 소리만 나왔어요.

“할머니, 힘 좀 내봐, 힘 좀. 나 목 마르단 말이야.”

꾸룩이가 뒤뚱뒤뚱 다가가 할머니를 채근하였어요.

“오냐, 오냐! 애써 보마.”

SSI_20090705171158_V.jpg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할머니의 깊게 파인 이마 주름살 사이로 또글또글 땀방울이 굴러갔어요. 할머니는 있는 힘을 다해 펌프질을 했어요. 펌프는 계속 쪼륵쪼륵 잔기침만 해댔어요. 하지만 잠시 후 콰륵콰륵 긴 기침을 토해 내더니 땅속 깊은 곳에서 잠자고 있던 물을 끌어올렸지요. 양동이 허리까지 물이 차오르자 꾸룩이는 긴 부리를 집어넣어 꾸룩꾸룩 물을 들이켰어요.

“할머니, 밥 언제 줄 거야? 빨리 서둘러. 나 배 고프단 말이야.”

꾸룩이는 부엌에 들어가 할머니 등을 콕콕 찔렀어요.

“오냐, 오냐! 서둘러 보마.”

할머니가 눈을 비비며 아궁이에 불을 집어넣고 있는 사이, 꾸룩이는 이 밭 저 밭을 다니며 상추를 뜯어먹었어요. 그랬더니 배가 조금 불렀어요.

“꾸룩아, 밥 먹자, 얼른 오렴.”

꾸룩이는 어기적어기적 작은 툇마루로 올라갔어요. 할머니가 댓돌을 놓아주어서 쉽게 올라갈 수 있었어요.

“에이, 반찬이 이게 뭐야?”

꾸룩이가 상을 흘낏 보며 말했어요. 꾸룩이는 반찬 투정이 아주 심해요. 할머니가 싱긋 웃으며 생선 한 젓가락을 집어 올려 꾸룩이 입에 넣어 주었어요.

“꾸룩아, 이것 좀 먹어 봐라. 너 주려고 내가 아껴둔 거다.”

“에이, 맛도 없잖아.”

꾸룩이의 말에 할머니는 그저 빙그레 웃기만 했어요. 투정도 잘 부리고, 게으르고, 버릇은 없지만 그래도 꾸룩이가 있어서 할머니는 외롭지 않아요.

“어, 갑자기 배가 아프네. 할머니, 나 배 아파!”

꾸룩이가 뽕나무 밭으로 내려가 납작 엎드렸어요. 앗, 그런데 이게 무슨 일이죠? 갑자기 뱃속에서 뭔가가 꾸물꾸물 대더니 커다란 알이 쑥 나오는 게 아니겠어요?

‘이게 뭐지?’

꾸룩이는 덜컥 겁이 났어요. 그런 꾸룩이를 보며 할머니가 기특하다는 듯 등을 쓰다듬어 주며 말했어요.

“이게 바로 알이라는 거다. 옛날옛날에 너도 이 알에서 태어났단다. 이 알을 품어 주면 아기가 태어나는 것이야.”

‘이 알을 품으면 아기가 나온다고?’

꾸룩이는 갑자기 어른이 된 기분이 들었어요.

할머니가 고추밭에 김매러 간 사이, 꾸룩이는 자기가 낳은 알을 이리저리 쳐다보았어요.

‘그런데 도대체 이 알을 어떻게 품어야 하지? 이렇게? 아니면 저렇게?’

꾸룩이는 알을 날갯죽지 속에 넣어 보기도 하고, 앞가슴에 넣어 보기도 하였어요. 그러다 꾸룩이는 겨우겨우 알을 품었어요.

“꾸룩아, 밥 먹자.”

저녁 때가 되어 할머니가 불렀지만 꾸룩이는 들은 척도 하지 않았어요. 알을 잘 품어서 꼭 아기가 태어나는 것을 보고 싶었거든요.

어디선가 노랑나비가 날아왔어요. 꾸룩이는 나비를 쫓아가고 싶었어요. 하지만 꾹 참았어요.

“할머니, 물 좀 갖다 줘.”

꾸룩이가 소리쳤지만 할머니는 아무 대답을 하지 않았어요.

꾸룩이는 할 수 없이 잠깐 자리를 떴어요. 물 먹으러 갔다 툇마루에 올라가 잠깐 놀다 오니 알이 감쪽같이 사라졌어요.

꾸룩이는 깜짝 놀라 여기저기 알을 찾으러 다녔어요.

“네가 알 가져갔니?”

“내가 뭣 때문에?”

수탉이 볏을 세게 흔들었어요.

“너니?”

“내가 뭣 때문에?”

토끼가 귀를 쫑긋하며 말했어요.

이틀 후, 꾸룩이는 또 알을 낳았어요. 그런데 참 이상한 일이에요. 꾸룩이가 잠깐 자리를 비울 때마다 감쪽같이 알이 없어지곤 하는 거예요.

꾸룩이는 마음속으로 굳게 결심을 했어요.

‘이제는 더워서 알을 낳을 수 없을 것 같아. 이게 마지막 알이야. 잘 품어서 꼭 아기를 태어나게 할 거야.’

꾸룩이는 며칠 동안 물도 먹지 않고, 밥도 먹지 않고 그 자리에 꼼짝 않고 앉아 알을 품었어요. 갑갑했지만 꾹 참았어요.

장이 서는 어느 날 아침이었어요. 할머니가 소쿠리를 들고 나오며 말했어요.

“꾸룩아, 장에 갔다 올 테니까 집 잘 보고 있어.”

꾸룩이는 이상한 느낌에 할머니가 들고 있는 소쿠리 쪽으로 달려가 그 안을 들여다보았어요. 소쿠리 안에는 커다란 알이 가득 들어 있었어요.

“이, 이거, 혹시?”

“그래, 맞아. 모두 네가 낳은 알이다. 장에 내다 팔려고 한단다.”

“뭐라고요? 그러면 그 동안 내 알을 훔쳐 간 게 바로 할머니였단 말이에요?”

“꾸룩아, 내 말 좀 들어봐. 그 알은 말이야. 아무 소용이 없어. 그래서 내가…….”

할머니 말이 다 끝나기도 전에 꾸룩이는 꽥꽥대며 소리소리 질러댔어요.

“그 알 모두 내놓아요. 내 거예요.”

“안 돼! 이 알은 줄 수 없어! 소용도 없는 알을 왜 달라고 하는 거야?”

할머니가 소쿠리를 등 뒤로 감추며 말했어요. 그 말에 꾸룩이는 화가 머리끝까지 솟구쳐 올랐어요.

“뭐라고요? 소용이 없다고요? 그러는 할머니는 알도 못 낳잖아요. 나처럼 알도 못 낳으니까 샘나서 그러는 거죠?”

“그, 그래. 나, 나는 알도 못 낳는 늙은이다!”

꾸룩이의 말에 할머니는 기운 없이 고개를 푹 숙였어요.

“그 알들 내놓으란 말이에요, 당장!”

꾸룩이가 다가오자, 할머니는 재빨리 소쿠리를 머리에 이고 잰걸음으로 대문을 나갔어요.

“네가 아무리 그래도 이 알은 줄 수가 없어!”

할머니 발걸음이 어찌나 빠른지 꾸룩이는 할머니를 도저히 따라갈 수가 없었어요. 할머니 모습이 사라지자 꾸룩이는 화가 나서 씩씩대며 할머니가 정성껏 만들어 놓은 밭을 죄다 헤쳐 놓았어요. 또 할머니가 아끼는 꽃들도 죄다 꺾어 놓았어요. 그래도 성이 풀리지 않아 꾸룩이는 꾸룩꾸룩 소리를 지르며 마당을 왔다 갔다 했어요.

해가 지고 별이 하나 둘 보이는데도 할머니는 돌아오지 않았어요.

“치, 누가 걱정할까 봐. 나 혼자서도 잘살 수 있다고!”

꾸룩이는 숨겨 놓았던 알을 다시 품었어요. 그러니까 마음이 좀 가라앉았어요.

“나는 아기를 낳을 거라고! 아기가 태어나면 할머니랑 안 놀 거야! 할머니는 없어도 된다고!”

말은 그렇게 했지만 꾸룩이는 자꾸만 불안한 마음이 들었어요. 여태까지 이렇게 오랫동안 혼자 있은 적이 한번도 없었거든요.

꾸룩이는 알을 마른 풀로 살짝 덮어 놓고 자리에서 일어섰어요. 아무래도 할머니를 찾아나서야 할 것 같았어요.

꾸룩이는 뒤뚱뒤뚱 마을길로 나갔어요. 저 멀리 어두운 길에서 허리가 굽은 그림자 하나가 느릿느릿 걸어오는 게 보였어요. 꾸룩이는 반가운 생각이 들어 뒤뚱뒤뚱 다가갔어요. 할머니 얼굴을 보자, 꾸룩이는 다짜고짜 소리를 버럭 질렀어요.

“어디 갔다 이제 오는 거야? 나 혼자 하루 종일 놔두고! 밥도 안 차려 주고!”

할머니는 아무 말 없이 소쿠리에서 뭔가를 꺼내 땅에 내려놓았어요.

“자, 네 신랑이다. 네 신랑을 데려오느라 이렇게 늦었어.”

깨룩깨룩. 소쿠리에서 나온 작고 볼품없는 하얀 거위가 시끄럽게 울어댔어요.

“아무리 알을 품어도 혼자서는 아기를 낳을 수 없단다. 내년에는 아기들이 태어날 수 있을 거야.”

땅에 내려놓자마자 작은 거위 깨룩이는 꾸룩이 꽁무니를 졸졸 따라왔어요. 꾸룩이가 깜짝 놀라 도망을 치는데도 깨룩이는 아랑곳하지 않고 졸졸 쫓아왔어요. 뽕나무 밑에 오자 꾸룩이가 귀찮은 듯 말했어요.

“쪼끄만 게 까불고 있어! 저리 가! 나는 알을 품어야 한단 말이야.”

꾸룩이의 말에 깨룩이가 한심하다는 듯 말했어요.

“저런, 쯧쯧. 아직도 몰라요? 그 알에서는 아기가 태어날 수 없어요.”

“뭐라고! 너도 할머니랑 똑같은 소리를 하는구나! 아무도 믿을 수가 없어!”

“할머니가 하루 종일 장에 나와 앉아 그 알을 파느라 얼마나 고생했는지 알아요? 그게 다 누구 때문인데……. 신랑이 있어야 알에서 아기가 태어나는 거예요. 그래서 내가 온 거라구요.”

그러면서 꼬마 신랑 깨룩이가 꾸룩이 옆에 다가와 졸린 듯 눈을 감았어요.

‘아, 그랬구나. 난 그것도 모르고…….’

꾸룩이는 할머니가 주무시고 있는 안방을 한참 동안 바라보았어요. 갑자기 눈물이 나오려고 해요.

SSI_20090705171528_V.jpg
▲ 동화작가 안선모씨
●작가의 말

예전에는 동물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다. 그런데 시골살이를 하면서 동물들을 자세히 살펴보게 되었고 그들의 생활을 조금이나마 이해하게 되었다. 거위는 하지 때까지 열심히 알을 낳고 열심히 품는다. 신랑이 없으면 알에서 새끼가 태어날 수 없다는 것을 모르는 채. 장에 나가 꼬마신랑 깨룩이를 사오던 날, 거위 꾸룩이 얘기를 동화로 꾸며 보았다.

●약력

▲월간 아동문예로 등단

▲해강아동문학상(신인상), 한국아동문학상 수상

▲‘마이 네임이즈 민캐빈’, ‘날개 달린 휠체어’,‘소리섬은 오늘도 화창합니다’, ‘우당탕탕 2학년 3반’, ‘딴 애랑 놀지 뭐’ 등의 작품집이 있음.

▲다음 카페 산모퉁이에서 자연과 동물 그리고 책을 주제로 다양한 체험학습을 하고 있음

▲현재 인천연수초등학교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