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어려서부터 용대는 총을 참 좋아했지요. 아기의 기저귀를 채던 노란고무줄을 엮은 새총, 화약을 터트리던 딱총, 대나무에 구멍을 뚫어 만든 물딱총 등등... 하다못해 산에서 전쟁놀이를 할 때면 막대기를 총기삼아 잘 놀았지요. 입으로 총소리를 내면서... “땅땅! 따따따따! 드르륵!” 산새들도 놀래고 산에 사는 메아리도 놀랬지요. 육학년이 된 용대는 주번이라는 완장을 차고 한 주간 교문을 지켰어요. 생활담당 선생님으로부터 지시사항을 들었어요. “이름표는 왼쪽 가슴에 잘 부착하였나?” “손톱과 머리와 복장상태는?” 그리고 등교하는 학생들이 가져와서는 안 될 품목을 열거하셨죠. 찐 고구마, 딱지, 누룬치기, 구슬, 사슴벌레, 물총 등 장난감이었어요. 그중 주번인 용대의 눈에 들어오는 것은 건평에 사는 오학년생이 손에 들고 온 고무물총이었어요. 작은 고추처럼 생긴 것이 쭉쭉 물을 뿜어내는 데 성능이 참 좋았어요. 물론 빼앗아 몰래 호주머니에 숨겼죠. 당시 힘 있는 애가 딱지 등을 "뻘뜨기!"라고 소리치며 가지면 힘없는 아이들은 속수무책 당하고 말았어요. 여학생들이 고자질을 하면 담임선생님에게 걸려 혼도 나곤 하였지요. 그날 집에 와 고무물총으로 시갑이와 동생의 얼굴에 구적 물을 뿌려대며 신나게 놀았죠. 다음날 교문을 지키는데 어제 고무물총을 빼앗긴 그 애가 또 고무물총을 들고 등교하는 것이에요. 이번 것은 더욱 실하고 커다란 고무물총이었어요. 양심이 있어 바로 빼앗지는 않고 그대로 통과시킨 후 오학년 교실로 가 어제 빼앗은 작은 고무물총을 도로주고 그 큰 고무물총을 손에 넣었죠. 주번의 횡포가 이만저만이 아니었죠. 용대가 선생님 댁의 자제라 조신하여야하는데 그걸 역이용하고 있는지도... 아무튼 수업이 파하기가 무섭게 집에 돌아와 그 큰 고무물총에 물을 빨아 담으려는데 영 신통치가 않더군요. 물을 쏘아도 발끝에 쪼르르 떨어지고... 구멍이 났나봐요. 아무리 쥐어짜도 고무물총은 힘없이 고개를 숙이더군요. “제기랄!” 깨달음이 있었어요. 남의 것을 함부로 탐내서는 안 된다는 사실과 고무물총이 크고 튼실하다고 무조건 다 좋은 것이 아니구나? 성능이 좋아야함을... 매사 겉만 번지르르함은 별 볼일 없음을... 작은 물총의 매서움을 그리워하며 그 큰 고무물총을 성질나 가위로 잘라버리고 말았어요. 날씨가 더워지니 어릴 적 가지고 놀던 사거리가 좋던 추억의 고무물총이 생각나는군요. 질 낮은 고무로 녹여 만든... |
고향을 사랑하는 마음이
어릴 적 추억과 함께 아름답게 펼쳐지고 있습니다.
읽다보면, 용혁님의 글은 자꾸만 우리를 순수하게 살라고 하네요.
어릴 적 그때처럼 말입니다.육학년 때 처음으로 서울을 보았어요.
봄 수학여행인데 서울가서 두리번 거리면 촌놈소리 듣는다하여
앞만보고 인솔하신 선생님 뒤만 따르다보니 창경원에 가서
공작과 기린만 보고 나왔어요.
남산및 리라국민학교의 노란 교복과 노란 스쿨버스는 동경의
대상이었고요.
그러나 지금 지나보니 제가 시골에서 자연과 함께하며
자란 것이 오히려 제 정서에도 맞고 좋은 추억들을
간직하는 계기가 되는 것 같습니다.
자연은 우리에게 순수, 비움과 느림의 미학을
자꾸 가르치려하지요.
산을 짝사랑하시는 선배님의 모습이 멋지세요.
늘 행복하시고요.
윤용혁님, 안녕하세요?
맨 나중에 '질 낮은 고무로 녹여 만든...'을 읽고 나서야 언뜻 그 시절 고무물총이 떠올랐어요.
생각 나요. 그런 장남감이 있었지요.
완장 차고 주번 하는 일도 생각나네요.
잊고 있었던 일을 다 기억나게 해주는 윤용혁님.
아직도 6학년 애들은 주번이 되어 학교 정문 앞 지키는 것을 제일 좋아한답니다.
요즘 주번이 하는 유일한 일은 '지각생 이름 적기'인데
그걸 서로 하려고 난리랍니다.
얘네들은 또 우리 나이가 되면
'물총 얘기' 대신에 '지각생 잡기' 얘기를 동창회홈피에 올리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