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C006441.jpg


    어려서부터 용대는 총을 참 좋아했지요.

    아기의 기저귀를 채던 노란고무줄을 엮은 새총, 화약을 터트리던 딱총,

    대나무에 구멍을 뚫어 만든 물딱총 등등...

    하다못해 산에서 전쟁놀이를 할 때면 막대기를 총기삼아 잘 놀았지요.

    입으로 총소리를 내면서... “땅땅! 따따따따! 드르륵!”

    산새들도 놀래고 산에 사는 메아리도 놀랬지요.


    육학년이 된 용대는 주번이라는 완장을 차고 한 주간 교문을 지켰어요.

    생활담당 선생님으로부터 지시사항을 들었어요.

    “이름표는 왼쪽 가슴에 잘 부착하였나?”

    “손톱과 머리와 복장상태는?”

    그리고 등교하는 학생들이 가져와서는 안 될 품목을 열거하셨죠.

    찐 고구마, 딱지, 누룬치기, 구슬, 사슴벌레, 물총 등 장난감이었어요.

    그중 주번인 용대의 눈에 들어오는 것은 건평에 사는 오학년생이 손에

    들고 온 고무물총이었어요.

    작은 고추처럼 생긴 것이 쭉쭉 물을 뿜어내는 데 성능이 참 좋았어요.

    물론 빼앗아 몰래 호주머니에 숨겼죠.

    당시 힘 있는 애가 딱지 등을 "뻘뜨기!"라고 소리치며 가지면 힘없는 아이들은

    속수무책 당하고 말았어요.

    여학생들이 고자질을 하면 담임선생님에게 걸려 혼도 나곤 하였지요. 

    그날 집에 와 고무물총으로 시갑이와 동생의 얼굴에 구적 물을 뿌려대며

    신나게 놀았죠.


    다음날 교문을 지키는데 어제 고무물총을 빼앗긴 그 애가 또 고무물총을 들고

    등교하는 것이에요.

    이번 것은 더욱 실하고 커다란 고무물총이었어요.

    양심이 있어 바로 빼앗지는 않고 그대로 통과시킨 후 오학년 교실로 가

    어제 빼앗은 작은 고무물총을 도로주고 그 큰 고무물총을 손에 넣었죠.

    주번의 횡포가 이만저만이 아니었죠.

    용대가 선생님 댁의 자제라 조신하여야하는데 그걸 역이용하고 있는지도...

    아무튼 수업이 파하기가 무섭게 집에 돌아와 그 큰 고무물총에 물을 빨아

    담으려는데 영 신통치가 않더군요.

    물을 쏘아도 발끝에 쪼르르 떨어지고...

    구멍이 났나봐요. 

    아무리 쥐어짜도 고무물총은 힘없이 고개를 숙이더군요.

    “제기랄!”


    깨달음이 있었어요.

    남의 것을 함부로 탐내서는 안 된다는 사실과 고무물총이 크고 튼실하다고

    무조건 다 좋은 것이 아니구나?

    성능이 좋아야함을...

    매사 겉만 번지르르함은 별 볼일 없음을...

    작은 물총의 매서움을 그리워하며 그 큰 고무물총을 성질나 가위로 잘라버리고

    말았어요.

    날씨가 더워지니 어릴 적 가지고 놀던 사거리가 좋던 추억의 고무물총이

    생각나는군요.

    질 낮은 고무로 녹여 만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