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회 | 포토갤러리 | - 게시판담당 : 박화림

Shall We Dance?
이 영화도 혜옥이가 적극 권해서 보게 되었다.
원래는 일본 영화라는데
헐리우드에서 미국 영화로 다시 만든 것이다.
‘남자의 대부분은 조용한 절망으로 삶을 유지 한다’는
소로우의 말을 인용 한 것 같이
매일 되풀이 되는 일과 가정을 오가며
일상의 삶을 성실하게 살아가는 중년의 남자도
가끔은 공허하고, 지루해 지기도 하며
더 행복해 지고 싶은 욕망이 있을 것이나
그 궤도를 벗어나기 어려움을 뜻 한 것이리라.
평범한 가정의 가장이며, 변호사인 죤 클라크(리챠드기어 분)은
전철로 출퇴근을 하고 있다.
언제 부터인가 퇴근길에 댄스 학원 간판이 눈에 띈다.
몸을 움직이는 사람도 보이고,
어딘가를 들여다보듯, 창밖을 내다보는 여자도 자주 보인다.
컴퓨터로 ‘볼륨댄스’를 검색하며 괜한 짓이라 생각되어 지워버리기도 하나
어느 날, 중간에 전철역에서 내려 댄스 학원을 찾아간다.
몹시 쑥스러워 하며,
‘단지 한 번 찾아 가보는 거야’라고 자신에게 말하면서.
그러다 등록을 하고, 그날부터 춤을 배운다.
첫날 수업이 끝나기 전에
댄스 교사 폴리나(제니퍼 로페즈 분)은
‘문리버‘음악에 맞춰 우아하게 춤 시범을 보인다.
춤을 배우는 동안 그는 즐거워 졌고
사무실에서도 발동작을 할 만큼 춤에 빠져들고
딸은 요즘 아빠가 행복해 보인다고 하고
그의 아내는 그가 바람이 난 줄 알고 사립 탐정에 의뢰하게 되고....
무언가에 몰두한다는 것이 얼마나 좋고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지 모른다.
폴리나가 처음으로 댄스를 본 날은
세상이 흑백에서 컬러로 바뀌는 것 같았다고 했다.
나도 지난 1월 동기들과 함께 크루즈 여행에서
처음으로 라인 댄스를 배우기 전엔
춤의 세상이 있다는 것도, 또 춤이 이런 것 인줄도 몰랐다.
여섯 살 때 발레를 배우기도 했고, 초등 때는 고전 무용을 했지만
춤에 소질이 없을뿐더러
춤을 잘 추는 엄마 때문에
춤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부정적이었던 내가
요즈음은 일주일에 두 번, 먼 곳까지 라인 댄스를 배우러 간다.
어제는 왈츠를 배우는데
삼박자의 우아한, 원을 그리듯 큰 동작을 배우는데, 황홀했다.
아직은 선생을 좇아하기도 바쁘고 힘들지만
언제 가는 그 곳에 오는 다른 사람들처럼 잘 출 수 있기를 바란다.
죤의 아내도 남편에게 춤을 배워
부부가 부엌에서도 춤추고
사설탐정도 댄스 학원의 문을 두드리게 된다는
평범하면서 따뜻한
음악과 춤이 있어서
우리를 더 행복하게 해주는 이 영화를,
아직 보지 못하신 분들께 권하고 싶다.
Sway/ Pussycat Dolls

2004년도 상영 했어. 아마 DVD로 팔거야 . 경선아~
이 음악을 들으니, 저절로 몸이 흔들려지지 않니?
이 영화에서도 이 음악이 나와.
라인 댄스에서도 사용 했던 것 같아.
Tuesdays with Morrie에서 늙은 모리 교수가 목에 수건을 두르고
춤추러 다니는 것도 생각난다.
음악에 맞춘 율동이 마음과 몸을 건강하게 하지.
아뭏든 나도 계속하게 되었으면 좋겠어.
그러고보니 우리 친구들 댄스에, 음악에, 영화에, 미술에~~~~~~~~~~~~~~~~~~~~~~~~
멋져부려!(화림이 버전)
이제 정상적인 궤도에 들어갔지요?
이 영화 2004년도 거라고 위에서 말했는데 못보셨군요.
어디서 다운 받아 보셔야 할 거예요.
새롭게 리차드 기어가 참 멋지다고 생각했답니다.
수인아 나는 일본 영화 비데오가 집에 있어서 몇번 보았던 영화인데
할리웃에서도 또 만들었다고? 그건 몰랐지.
내용이 산뜻해서 우리 아이들이 좋아한다고 가져왔던 영화야.
이렇게 잘 소개하는 글을 써주니 고마워. 계속 올려요~~
수인아,
이 영화
도서관에서 두번이나 빌려다 보았는데도
제목하고 내용하고 따로 알고 있었구나.
지친 몸을 이불 속에 담그고 보아서 그랬나?
단순한 일상생활에서 율동이 주는 생동감을 소박하게 표현한 거 같애.
그래서 부담없이 공감할 수 있는 영화였단 생각이 드네.
전화 고마왔어.
인일 회장하고 통화도 했구.
이사와서 이제 네번째 밤을 지냈어.
그제였나.
폭설이 내리던 날이엇지
스페니쉬 (스페인어 사용자)들이 눈삽을 들고 다니더구나.
먼저 산골 동네와는 아주 다른 느낌이구
사는데는 참 편리하겠다 싶다.
짜장면 집도 걸어가는 거리에 있구
큰 한인 식품점도 1 킬로미터 내에 들어온다는 소문도 들리고
제일 좋은건 직장까지의 운전거리 단축이지.
오기까지 힘들었던 그 모든게 헛수고는 아니라 생각되고,
감사할 일이 참으로 많구나.
먼저 집과 구조가 비슷해 익숙한데다
수리 막판까지 하다 만 오래된 집
아직 할일은 많다만
조금씩 건드려볼 생각야.
화장실 등 잘 고쳐놓아서 기분이 좋네.
아직 인터넷, 전화, 테레비젼 설치를 하지 않았더니
적막강산
누려볼만하더구나.
그래서일까?
가로등 불빛이 정겨우네.
편리한 곳으로 왔다니 다행이다.
지구가 좁다고 느낄만큼 바쁜 그대도 이곳에서 쉬어 가니 참 좋다.
난 요즘 이렇게 멀리사는 친구들과 시공을 초월해서 만나게 해주는 과학이 너무 고맙다.
첨단 과학 속에서 살면서도 모두들 "자연으로 돌아가자!" 를 외치는 것도 재미 있어.
수인아~
.gif)
同名의 일본영화를 리차드 기어를 주인공으로 리메이크했구나.
아직 우리 나라에선 상영 안한 것 같은데....했나?
`벤자민 .......`이란 영화에서도 발레리나 몸의 아름다운 선을 강조하는 장면이 나오던데..
아름다운 건 좋은 것이야 그치?
어제 칠순이 다 되는 분이 인생을 어떻게 하면 즐겁게 보내나 말씀하시는 것을 들었는데
`춤`이 즐거움을 주는 것이라면 춤추며 지내도 괜찮겠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가무를 좋아한다고 했거늘
유교문화를 거치면서 가무를 쾌락으로만 극비하시켜 멀게하게 한 모양이다.
그나저나 흐르는 음악 라인 댄스에서 사용하는 음악인 것 같어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