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자식으로서 반성도 많이 했으며
왜 엄마를 한번도 여자로 생각을 못 했을까 하는 자책이 들기도 했습니다.
한글을 몰라 서울로 공부하러간 큰아들의 편지를 딸아이에게 읽어 달라고 부탁하던 엄마에게도
젊은 시절 남편 말고 다른 남자를 마음에 둔 적이 있었다니.....
이 소설을 읽고 나도 엄마에게 물었습니다.
엄마도 아버지말고 마음에 평생 두고 산 남자가 있었냐고요?
우리 엄마 펄쩍 뛰며 망측스러운 말 하지도 말라고 퉁박을 주었습니다.
과연 우리 엄마가 솔직한 답변을 한 것일까요?
아니면 77세 라는 나이가 되면 다 별것이 되어 버리는 것일까요?
나는 오늘 갑자기 한살이라도 더 먹었다는 것이 두렵고
나도 언젠가는 우리 엄마처럼 되어 가겠구나 하는 처량함에
내 소중한 기억을 이제라도 담아 두어야겠다는 절실함에 펜을 들었습니다.
"취해야만
내가 너를 안을 수 있지" 했던
슬픈 남자가 있었네.
그 한마디에
내가 왜 그렇게 떨렸는지.
무심코
비밀의 꽃대를 피워 올리고
아득해지던 두려움때문에
무시로
넘쳐 오르는 내 욕망이
훨훨 불 타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으면 했네.
"취해야만
내가 너를 안을 수 있지" 했던
바람같은 남자가 있었네.
부끄러워 하는 내 손을 꼭 잡아주며
한 석달 열흘쯤
깊은 산속 외딴 집에서
때로는 웃고
때로는 토라지기도 하면서
아무도 몰래 숨어서 살아 보았으면 했는데
바람이 불면
나를 흔들고 갈 눈물인 줄 뻔히 알면서도
그때 나는 행복했네.
"취해야만
내가 너를 안을 수 있지" 했던
바보같은 남자가 있었네.
내 어깨에 기대어
"다시는 울지 말아요" 했던 굳은 맹세는 어디로 가고
지금도 내 안에 남아
나를 울리는
바보같은 남자
그런 남자를 내가 그만 사랑해 버렸네.
빈잔 / 남진 |
이 말은 불빛 속에 보이는 주홍색처럼 강렬함을 느끼게 해.
설레는 말이기도 하고.
오랜만에 들려주는 거침없는 표현에 내가 흠뻑 취했다.
저녁 회식 자리에서 받은 산사춘 한 잔 탓인가?
언니의 글들은 늘 찐하고 뭉클한 감동을 주죠!
멀고 숨 가쁘게 돌아 달려온 인생의 뒤 안 길에서
언니의 아름다운 사랑이야기는~~~
우리 모두의 내놓지 못하는 고백이기도 하겟죠?
언니~~~저~~초옥이 칭구예요.
그곳에 갈때마다 초옥이 나 위해 엄청 수고 하지요.
한잔 술에 취해서 독백하듯 쓴 글같아요.
지금 그사람 이름은 잊었지만..♬♪.............♬♪.................그 노래도 한잔 술에 그렇게 탄생했다죠.
누구 작곡가가 곡을 붙이면
참 좋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취했던 취하지 않았던,
자신의 마음을 쪽집게로 집은 단어로
미사여구 걸러내고 풀어낸 글 참 좋습니다.
시리즈로 기대해 보고 싶어요^^
오랜만에 산학이 글 읽는다.
'엄마를 부탁해' 책은 이번 미국 갈때 들고가면서 비행기 안에서 읽었던 책이야.
우리가 공감 할 수 있어서인지 내내 쉬지 않고 읽어 미국 도착할때까지 다 읽었다.
읽고 난후에도 여운이 남아 한참 눈을 감고 이것저것 생각했지...
이담에 우리 딸들이 나를 어떻게 기억해 줄까 하는 생각도....
딸들도 보라고 놓고 왔다.
우리가 늙어 꼬부랑 할머니가 되어도 우리가 엄마를 그리워하는 마음은 꼭 같을거야, 그치?
고름처럼 쉴 새 없이 묻어나오던 기억의 傷處를
이제 시나브로 다이아징 가루로 메우려 합니다.
그래봤자 기억은 딱지 져서 추억의 破片으로 남겠지만...
내가 한 男子를 사랑했네
내가 한 男子를 사랑했네
얼음같이 차가운
차가와서 영혼까지 맑은
맑은 영혼때문에 憂愁에 젖어있는 눈을 가진
그런 男子를 사랑했네.
눈길이 닿으면 내 마음을 들켜버릴까 봐
가까이 갈 수도 없고
감히 쳐다볼 수도 없었던 두려운 男子
꿈에서도
멀리에 서서
침묵하는
무심한 남자를 내가 사랑했네.
그래도
한잔 술에 취하면
첫사랑을 그리워하며 가슴 아파하는
슬픔같은 男子
그 눈에서는 깊이를 알 수 없는 바람이
때로는 불고
때로는 지고 있었지.
그런 남자의 아픔까지도 사랑한 나에게
이 세상의 罪는 단 하나
들켜버리는 것이라며
쓸쓸하게 돌아서던 男子
그런 男子를
罪인 줄 알면서도 내가 사랑했네.
용상욱님, 상처라고 하셨지요.맞아요. 여자들은 흔히 아이 낳은 달만 돌아오면 어김없이 그 때의 기억이 되살아나
배가 아프듯이, 상처는 아물었다가 다시 되살아나 가슴을 뜯게 하지요.그래도 어느 사람은 그런 상처를 다지고 다져
감동적인 글을 남깁니다. 지바고가 "라라에게...."라고 썼듯이 말입니다.
그런 걸 어머니에게 물어보셨어요? 참 산학 님도...!!!
그 사람 어찌 취해야만 안을 수 있었을까?
어차피 인생은 안 마시고도 늘 취해 사는 것일 텐데...
아랍 발라드 송(Always be with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