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편지 1>
부제(副題) : 아날로그 따라지
어느 날 우연히 열어본 누나의 책상 서랍에서
난 어느 남학생이 보낸 연서(戀書)를 보았다.
그는 나도 이름을 아는 선배로 전교에서 수석을 다투는 이었다.
헌데 사연은 참 구구절절한데 감동은 없었다.
그저 그랬다. 글에는 전혀 소질이 없는 내가 봐도 별로였다.
그런가 하면 교지(校誌)를 받아볼 때마다 늘 눈에 띠는 선배가 있었다.
그 선배의 글은 한줄 한 문장이 전부 외우고 싶을 만큼 멋졌다.
그러면서도 단순히 감각적이고 감성적인 차원을 넘는 어떤 울림이 있었다.
난 무턱대고 그 선배에게 편지를 보냈다. 나, 선배의 글이 좋아서 편지한다고...팬이라고...
그렇게 해서 그 선배와 편지를 주고받았고 가끔 만나서 즐거운 얘기도 나누었다.
당시 그 선배는 학원이란 잡지에도 자주 글을 올렸고 숫눈이라도 내린 날이면
방금 쪄낸 백설기 같은 새하얀 눈이 수북하게 쌓인 운동장에
나란히 발자국을 포개어 처녓길(處女)을 함께 내고 싶은
인천의 문학소녀들이 줄을 서곤 했다.
그 시절에 난 그 선배가 질투 내지 부러움의 한 대상이었다.
솔직히 문학성이라는 문제를 떠나 여학생들에게 그토록 인기가 있다는 그 점 때문에...
하여 하릴없이 부러워하는 대신 난 늘 장문(長文)의 편지로 내 없는 재주를 커버하려 했다.
그게 버릇이 되다보니 여기 인일홈피에서 늘 글이 길다고 전문적으로 경고를 받곤 했다.
허나 내 졸문(拙文)의 긴 편지도 글의 좋고 미숙함을 떠나서 바로 그 장문이라는 점 때문에
효자 노릇한 일이 과거 여러 차례 있었다.
그중 몇 개 경우를 보면
기(其) 1:
열사(熱沙)의 나라 사우디 현장으로 파견된 내 친구에게 어느 날 보낸 10 여 쪽의 긴 편지,
그로 인해 친구는 특별포상휴가를 받아 한국에 나온 적이 있었다.
그 회사에선 고국(故國)에서 보내온 편지를 여직원이 방송을 하고 그걸 들은 직원들이
공개투표를 해서 우수편지를 가려 그 편지를 받은 주인공에게 휴가를 주는 제도를
시행한다는 사연을 나중 들었다.
내 편지는 졸문이긴 하지만 한두 줄 멋진 글만 달랑 쓰인 짧은 편지나
의례적인 안부편지에 비해 길다보니 여직원의 달콤한 목소리를
더 오래 들을 수 있었고 그래서 거기 무더운 사막에서의 지루한 향수(鄕愁)를
조금이라도 더 오래도록 잊을 수 있던 직원들의 무더기 투표가 있었나보다.
기(其) 2:
1년여 만에 가까스로 이름과 거처(居處)를 알아낸 처녀 집에 쳐들어가서
예상 못한 그 오빠를 만나 메아리 없는 간접(間接)구애(求愛)를 2시간이나 한 후
맥없이 상경한 다음날 써 보낸 10 여 쪽의 편지.
그리곤 바야흐로 체념상태로 지내던 어느 일요일...
그 편지를 기본으로 내 신상조사와 학교 성적, 필체, 인격, 사상 등을 분석(?)한
그 집의 친척들이 여러 지방과 서울에서 대거 모여 나를 직접 면접하러 나타났던 일...
당시 내 편지는 국문과를 다니던 동창들도 짜깁기해서 연서(戀書)로 쓸 정도로
연서의 패러다임이었다.
물론 내 글은 문장이나 표현, 묘사력은 글 수준에도 못 끼는 형편없는 글이었지만
발상(發想)이 특이했고 그 발상이 조금도 과장(誇張)이나 뻥튀기가 아닌
내 절절한 진심이었다는 것이 주효했나보다.
기(其) 3:
30년 동안 마음의 팬으로만 지내온 한 성우(聲優)에게 보낸,
육필로 쓴 15쪽의 긴 펜팔에 감동 먹은 그 성우가
“이 편지는 내가 직접 잘 보관하겠다.” 며
비록 15쪽 전부는 아니지만 행복한 목소리로 낭송해주던 일.....
기(其) 4:
무려 300 여 쪽에 달하는 글을 한 권의 다이어리에 적어 보내고
5일 만에 같은 분량의 답 글 쓰인 다이어리를 받았던 일 등, 등...
지금 세상은 초음속의 시대로 달리는 데 여전히 난 자주 편지를 쓴다.
때로는 상대가 컴맹인 때문에, 때로는 육필(肉筆)이 전해주는
그 생동감을 잃기 싫어 나는 편지를 쓴다.
단지 요즘은 워드로 쓰고 봉투만 육필로 쓰는 비중이 더 많아졌다.
정성스레 주소와 이름을 쓰고 우표를 붙여, 설레는 심정으로
빨간 우체통 입으로 넣는다.
그렇게 아직도 나는 아날로그의 시대에 묻혀 지내는,
시대에 한참 뒤 떨어진 무지렁이 촌(村)사람이다.
주말이군요.
선배님의 편지가 심금을 울리고 친구의 고국행을 도운 일등공신의
역활을 톡톡히 해내셨을 거라는 사실을 저는 선배님의 글을 통해 이미 알고
있었죠.
제 고교시절 I.B.S(인천고 교내방송)에서는 언제나 임창제와 그 짝꿍이
부른 편지라는 노래가 얼마나 인기였는지요...
선배님을 통해 다시 들으니 아날로그의 편지가 그립군요.
저도 중등 남녀공학시절 여학생이 제게 보낸 편지를 책상서랍에서
발견하고 가슴을 조이며 화장실에서 숨어 읽던 기억이 나 미소짓습니다.
내용은 너가 좋으니 앞으로 사귀며 잘 지내자는 그런 거 였어요. ㅎㅎㅎㅎㅎ
퇴근시간이 다가옵니다.
즐거운 주말되시고 늘 여여하세요.
멋지신 선배님.
옛날엔 편지를 일기 쓰듯이 썼었는데.
엽서도 많이 보내고 가끔은 전보도 이용했던 기억이 납니다.
인터넷에 길들여진 지금, 다시 편지를 쓰라하면 그 때 같지는 않겠지요?
아무래도 불편을 느낄 거 같아요.
그래도 난 다행히
지금도 연필로 정성껏 쓴 편지를 받는답니다.
몇몇 사랑스러운 내 제자들로부터죠.
안녕하세요? 지루하셨지요? 재미없는 글 읽으시느라...
영주 님은 임창제와 이수영 어느 쪽을 더 좋아했는지요?
제 서랍에는 지금도 미처 사용하지 않은 엽서가 200장은 있네요.
과거에는 정말 전보도 가끔 이용했지요.
되도록 요금 적게 나오도록 글자나 자귀를 가려가면서...
지금도 연필로 정성껏 쓴 편지를 받는답니다. 이 부분에서 깜작 놀랐지요.
소설가 김훈처럼 누가 연필로 쓴 편지를 보내는 이가 있나 해서요.
그런데 밑에 내려가보니 3학년? 아니 5학년이었던가요, 학생들이 보내오는 편지였군요.
고 2 겨울방학 시절 국어 선생님이 자기에게 편지를 써 보내라는 숙제를 내주셨지요.
그 때도 또 어김없이 20 여 쪽의 콩트를 써보냈더니 나중 개학해서 따로 교무실로 불러
"너 글 좀 쓰는구나, 그 길로 더 공부하지 않을래?" 물으시더군요.
그 말씀에 속아 국어는 신나게 공부했었지요.
헌데 차별이라니요, 제가요? 아님 편지라는 노래가요?
저는 언감생심 차별은커녕 당사자들에게 거부감을 줄까봐
함부로 여기저기 다니지 않고
아주 조심조심 줄여서 댓글 올리는 심정인데요.
저 아래 서감독의 <눈이 왔어요> 라는 동영상에도
전선생이 다녀가라하셔서 다녀왔잖아요.
아무도 아는 체도 하지 않더구먼서도... ㅎㅎㅎ.
실제 1951년 생인 동갑 임창제와 이수영,
요즘은 미남 이수영이 골격은 그대로인데
뭔가 모르게 무섭게 변했더군요.
난 구수한 말솜씨의 임창제가 더 좋았어요.
2004년 트랙이면
편지 발표 30년을 기념해서 나온 트랙이군요.
잘 들었습니다.
지금도 거리를 걷다가 빨간 우체통을 보면 누군가가 불현듯 그리워지고
그리운 마음을 편지에 길게 써 전하고 싶은 충동은
모든 이들의 공통분모인 모양입니다.
그래서 빨간 우체통은 그리움이고요.
언젠가 한려수도를 배를 타고 도는데
멀리 조그만 예쁜 섬에 빨간 우체통 하나가 눈에 확 들어왔지요.
그래서 무작정 내리고 말았답니다.
그곳이 남해였습니다.
30여년전 남해는 그냥 한 폭의 그림인 것을......
선배님의 글을 읽으니
옛 일이 주마등처럼 스칩니다.
양평에 지금은 부동산 사무실로 바뀐, 어린 왕자라는 카페가 있었지요.
거기 벽에 걸려 있던 그림, 당시 주인이었던 화가가 그린 삼천포라더군요.
무작정 그 그림의 삼천포, 바로 그곳을 찾아 달려갔지만
그 그림은 아무리 상상의 모자이크를 조합해보아도 맞출 수 없는 조각그림처럼
이제 흘러간 옛 풍경이 돼버리고 그저 아직도 내 지갑에서 답답한 숨을 쉬고 있지요.
하지만 대신 이은상이 마산 앞바다를 노래한 <내 고향 남쪽바다`~>를 들으며
평생 꿈을 키웠던 친구가 40 여년만에 이룬
남해의 아름다운 별장에서 남해를 실컷 품을 수 있었지요.
그리고 산학 님!
산학 님은 지금도 분명 그렇게 무작정 내리실 수 있겠지요!!!
無識한 冥想
1:꿈과 상상(想像)
흔히 라이트 형제가 인간도 새처럼 날수 없을 가? 라는 기발한 상상을 하고
그 상상을 실현한 것이 지금의 비행기다. 라고 생각한다.
헌데 사실은 상상이라는 것은 실재(實在)하는 것이기에 상상하는 것이다.
즉 비행기는 존재하고 있던 것이다. Back to the future라는 영화에 보면
Time Machine을 타고 과거로도 미래로도 공간이동을 한다.
그 공간이 실제 존재하지 않으면 공간이동은 할 수가 없다.
즉 그 공간은 신기루가 아닌 실재하는 공간이다.
스타워즈라는 영화에 보면 태양이 2 개가 떠있는 우주가 있다.
최근 바로 태양이 2개인 우주가 발견되었다.
즉 상상은 몇 천재들이 우주의 집단 무의식의 꺼풀을 우연히 透視한 것이다.
2: 직선 개념의 시종관(始終觀)이 아닌 원형(圓形)우주관(宇宙觀)
지구가 둥글고 회전하지만 저 수평선에 나가보기 전에는
지구는 여전히 평평한 땅이고 정지한 땅이다.
하지만 지구는 엄청난 굉음을 내며 무서운 속도로 회전한다.
팽이를 빠르게 돌려보면 팽이는 그냥 정지한 듯 보인다.
밤하늘의 별이 1억 광 년 떨어진 곳에서 반사된 빛을 본다고 할 때
그 별은 사실 5000만 년 전에 소멸되었을 별일 수도 있는데
우리는 지금 여기서 보는 것이다. 그럼 그것은 진실이 아니다.
그리고 계속해서 1억 광년 +1초 다시 2초, 3초.......前의 별을 보고 있다.
간단히 회전목마(回轉木馬)를 생각해보자
목마는 각각 모두 다른 높이에서 오르락내리락 돈다.
우리에겐 우리가 타고 있는 말인 이 우주 덩어리만이 전부로 인식되지만
우주는 360도 원으로 전방위(全方位)로 수도 없이 돌고 도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수많은 시간대(時間帶)의 우주는 전부 각각 움직이고 있는 실체인데
우리는 우리의 공간차원에 갇혀 못 볼 뿐이고
그 모든 시간대의 우주를 가운데에서 볼 수 있는 분이
바로 초월자(超越者)인 것이다.
3: 남자는 여자 앞에서 큰소리 못 쳐
이미 과거 수많은 선각자들은 남자의 도움 없이 체세포이용 등의 방법에 의해
여자만의 힘으로 생명을 창조할 수 있다 하였고
그런 주장은 벌써 수십 년 전에 서적으로도 활자화 되어 있다.
즉 생명창조에 있어서 남자는 무의미한 존재이다.
그리고 그것을 우리는 그리 오래지 않아 현실에서 목격하게 될 것이다.
아마도 여자가 남자보다는 인류의 原型일 듯싶다!!!
김화백 감사합니다. 용량이 2 MB 이하이기만 하면 보이는군요.
공연히 어렵게 다른 방식으로 고쳐야 되는 줄 알았는데 김방장 덕분에
이제 컴맹인 나로서 그 수고를 생각할 필요가 없게 되었습니다.
단 내게는 2MB가 넘는 파일 중에서 멋진 게 많은 데 그건 포기해야겠고...
아! 그리고 성자 님! 판교로 이사하실 예정이라고요?
그럼 교대역을 기준으로 더 가까워지는 것인지 더 멀어지는 지?
난 원래 좀 더듬하지만 그중에서도 도대체 지리는 완전 멍텅구리라서요.
진짜로 난 지리에는 깜깜이예요. 과거에는 갈 곳의 지도와 안내 책등을 보고
찾아가는 길과 그곳의 사정을 미리 공부하며 다녔는데
요즘은 그저 몸 가는 대로 무턱대고 다닙니다.
그렇게 준비없이 다니기에 우회하기도 하고 시간을 더 잡아먹기도 하지요.
그러다 어느 때는 길도 잃고 아무 소득(?)도 없이 맥 빠진 채 돌아오기도 하고요.
근데 그렇게 아무 선입견도, 사전 지식도, 예정도, 예약도 없이
불쑥 돌아다니는 게 당분간은 더 체질에 맞는 듯싶어요.
아무튼 교대역을 기준으로 더 가까워졌다니 반갑습니다.
천재적인 기억력의 방장 님!
어니언스의 "편지" 참 좋아해요.
군 입대전 아우와 함께 설악산으로 추억여행을 갔지요.
귀족처럼 우아했던 숙대생과의 만남이 있었지요.
이어서 애틋한 이별이 있었고요.
인연따라 만나고 인연 따라 헤어진 것일테지요.
그 때 설악동에 울려 퍼지던 노래가 바로 "편지"였습니다.
지금 들으니 새삼스럽게 추억의 현장에 온 기분입니다.
이메일이 아닌 친필로 편지를 쓴 것이 언제인지 기억도 안 납니다.
휴일 이 저녁 불현듯 누군가에게 편지를 쓰고 싶네요.
내 마음을 읽어 주시는 선배님
언제인가 말씀한 그 멋있다는 쥴리아 누나 주소나 좀 알려 주세요.
"얼굴 모르는 누나에게....어쩌구 저쩌구" 편지나 써보게요.
답신이나 오려는지....
ㅋㅋㅋ ㅎㅎㅎ
근대 왜 노래가 중간에 끊어진데요.
마치 저보고 답하시는 것 같아요.
"헛소리 말고 진공청소기로 청소나 해라. 밥을 굶기 싫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