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8월 16일, 말레이시아에 있는 4095.2m의 키나바루(kinabalu park)에 가기 위해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해외를 나가는 것이라 무조건 설레이고 기뻤다.

47세라는 나이에 처음 해외 여행이라니...
좀 창피하기도 했지만, 내 여권이 있다는 사실이 신기하기만 하다.
그동안 1년에 절반을 해외 출장중인 남편 때문에,
집안 일에서 한순간도 짬을 낼 수가 없어 그 흔한 미국이나 유럽 출장 길에 따라 나서지도 못했는데,
대충대충 집안의 큰일들이 마무리 되어, 홀가분한 마음으로 나선 길이었다.

그때는 설레이기만 해서 4000m 라는 산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도 모르고 좋기만 했다.
"무식하면 용감하다" 라는 말이 그때의 나를 두고 하는 말이었음을, 머지않아 깨달을수 밖에 없는 상황이 기다리고 있는 줄도 모르고...

쿠알라룸프루에서 사바주로 가는 국내선으로 갈아타고 다시 5시간에 걸쳐 버스로 이동, 바로 키나바루 입구에 도착했다.
산 아래라 공기가 맑고 깨끗해, 밤에는 별들이 그냥 우수수 쏟아질 것만 같은 별천지의 세상이다.
보이는 건 산 뿐이고 해발 1800m에 위치한 산장에서는 맑은 공기 때문인지 쉬이 잠이 오질 않는다.

그곳 산장에서 하룻밤을 묵고, 새벽 일치감치 키나바루 입구에 도착하니, 절차가 꽤 까다롭다.
보험을 들어야 하고, 셀파를 배정 받고, 허락이 떨어진 후에야 산에 오를 수가 있었다.
매년 세계적인 산악 마라톤이 이곳에서 열리는데 그때마다 심장마비로 죽는 사람이 생겨 꼭 보험에 들어야 한다나.
유럽인들이 특히 많다.

우리의 가이드는 태권도 금메달 리스트로 말레이시아에 사범으로 왔다가 그만 키나바루에 반해 주저 앉아버린 전문 산악인이다.
이번이 87번째 오르는 것이란다.
셀파들이 짐을 다 들고 우리는 맨몸으로 산을 오르기 시작했다.
아열대 지방의 나무들이 오르면 오를수록 높이에 따라 달라지고, 세계의 명산임을 입증하듯 쉼터도 잘 정돈되어 있었다.
만나는 이들마다 인사는 "천천히, 천천히."

고소증에 시달릴까봐 미리 약을 먹었는데도 시간이 지날수록 견디기가 힘들었다.
또 하루에 한번 쏟아지는 "스콜" 때문에 옷은 흠뻑 젖고, 땅에서 뿜어대는 열기는 가히 살인적이다.
숨이 탁 탁 막힌다. 머리가 깨질듯이 아프고 구토가 나고. 3000m를 넘으니 어지럼증까지 일기 시작한다.
준비해온 산소를 마시면서 가는데도 소용이 없다.
땀을 얼마나 흘렸는지 소변은 나오지도 않는다.

내가 왜 여기에 왔을까?
다리는 풀리고 주저앉아 울고만 싶었다.
우리 팀만 14명인데, 뒤에서 멀치감치 따라오는 셀파들이 걱정이 되는지 자꾸만 쉬어가자 한다.
차라리 셀파들이 물건을 버려두고 나를 업고가면 안될까... 등 별의별 생각이 다 든다.
만약 내가 포기하면, 당연히 남편도 나 때문에 포기해야되고, 그러면 일행중 누구는 우리를 따라 나설테고...
결국은 한 사람 때문에 몇 사람이 못가는 결과가 오면... 끔찍한 일이다.

그냥 철없이 해외여행이라니까 앞뒤 가리지않고 따라 나선 내 자신이 기가 막혔다.
무식하면 용감한 법이라는데... 그말이 딱 맞았다.
너무 힘이 들어서 남편에게 "셀파들이 날 업고 가면 안될까?"했더니 벼락같이 화를 낸다.
셀파들이 얼마나 힘이 드는데, 너를 업고 가라는 말은 죽으라는 말과 같은 거라나...
결국 남편과 대판 싸우고 부어터져서 걸었다.

"내가 만약 여기서 심장마비로 죽으면, 너는 아마 평생을 죄의식 속에서
살아야 할거다." 속으로 수없이 욕을 하면서 올라가는데,
내앞에 조그만한 여자가 올라가는 것이 눈에 띄었다. 깜짝 놀랐다.
나보다 더 작고 마른 소녀가 캔맥주 2박스를 등에 지고 가는 것이 아닌가?
가느다란 다리가 금방 부서질것만 같았다.

가이드에게 물으니, 헬리콥터로 물건을 실어나르는 것보다, 인건비가 더 싸기 때문에, 직접 사람이 산장까지 맥주를 운반하는 것이란다.
3353m에 있는 산장까지 캔맥주 2박스를 메고 오르는 현지인 소녀.
일당은 우리나라 돈으로 2만원.

2008112322117187.png